주 38.4시간 ‘콜 받고 뛰는 삶’… 44% “부당대우 참아”

주 38.4시간 ‘콜 받고 뛰는 삶’… 44% “부당대우 참아”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1-03-24 20:46
업데이트 2021-03-25 06: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플랫폼 노동자 실태 분석

전체 수입 15% 가입비·수수료 지출
계약·분쟁 조정 가능한 업체 14%뿐

이미지 확대
서울에서 일하는 플랫폼 노동자들은 1주일 평균 38.4시간을 일하고 266만원을 벌어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일거리를 얻기 위해 가입비나 수수료로 32만원 정도 냈지만 불공정 계약 등 부당한 대우를 감내해야 하는 사례가 많았다.

24일 한국노동사회연구소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실태와 특징’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10~11월 진행한 전국 플랫폼 노동 실태조사와 같은 기간 동안 서울 플랫폼 노동자 72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의 플랫폼 노동자는 평균 43.9세로 조사됐다. 이들의 64.8%는 기혼자이고, 그 중 69.6%는 맞벌이 노동자였다. 이들은 평균 1.6개 플랫폼에서 일을 구하며, 월 평균 소득은 266만원이었다.

여성 플랫폼 노동자의 총 소득은 202만 8000원으로 306만 2000원을 버는 남성보다 33.8% 낮았다. 가사청소(91.8%)나 가사돌봄(96.5%)에서는 여성 비율이 높고, 퀵서비스(2.1%)나 물류배송(6.2%) 플랫폼에서는 여성 비중이 낮았다.

이들은 플랫폼 수수료나 가입비 등으로 32만 3000원을 낸다. 전체 수입의 15.2%에 달한다. 그럼에도 불공정 계약이나 보수 등 분쟁을 조정할 수 있는 절차가 있는 플랫폼은 전체의 13.9%에 그쳤다. 이에 플랫폼 노동자의 43.9%는 고객의 부당대우를 겪어도 참아야 했다.

김종진 노사연 선임연구위원은 “법률지원이나 표준계약서 등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하다”고 짚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21-03-25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