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형-실내생활-고밀도… 동부구치소 무더기 확진 뒤엔 ‘3밀’ 있었다

아파트형-실내생활-고밀도… 동부구치소 무더기 확진 뒤엔 ‘3밀’ 있었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0-12-25 20:25
업데이트 2020-12-25 2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또다시 무더기로 나오면서 확진자가 총 514명이 됐다. 유독 확산세가 거세다보니 그 배경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18일 1차 전수검사에서 직원과 수용자 18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던 동부구치소는 23일 2차 검사에서 288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다. 나머지 인원은 1, 2차 검사 전에 양성 판정을 받은 사례다.

보건당국은 동부구치소 확진자가 급증한 이유에 대해 아파트형 건물 형태와 실내생활, 높은 밀집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동부구치소는 다른 구치소들과는 건물구조가 좀 다르다”면서 “다른 구치소는 단층 또는 높이가 낮은 건물로 만들어졌는데, 동부구치소는 아파트형으로 건축돼 12층짜리 건물 5개 동으로 구성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른 구치소는 운동장이 있어서 야외활동이 이뤄지는데 동부구치소는 대부분의 생활이 실내에서 이뤄지는 특징이 있다”면서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으로 수용정원은 2070명이지만 실제 수용인원은 2412명이었다”고 전했다. 구치소는 판결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속된 미결수용자가 모여 생활하다 보니 밀집도가 높을 수밖에 없지만 동부구치소는 ‘3밀’(밀집·밀접·밀폐)의 특징이 더 두드러졌다는 설명이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동부구치소 관련 첫 확진자는 직원의 가족으로 지난달 27일 확진됐다. 여기에서 감염된 직원이 근무 과정에서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했고 이후 직원과 수용자들 사이에 광범위한 전파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수용자 규모 2000여명 중 4분의1 가량 감염된 만큼 추가 확진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동부구치소는 대부분 독방보다는 공동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차 검사에서 확진된 수용자들은 건물 1개 동에 모여 관리를 받았지만 확진자가 대폭 증가함에 따라 방역당국은 확진자를 외부 생활치료 센터 등으로 옮기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정부는 구치소 내 감염이 외부로 확산할 가능성은 적다고 봤다. 구치소의 경우 수용자들의 이동 동선을 통제하는 상황이 가능한 만큼 지역사회 추가 확산 가능성이 낮다는 설명이다. 다만 수용자들 이외에 직원 및 면회자 출입 등을 통해서도 감염이 이뤄질 수 있는 만큼 외부 확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