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병원 등 시설 집단감염에...” 코로나19 하루 사망자 24명

“요양병원 등 시설 집단감염에...” 코로나19 하루 사망자 24명

임효진 기자
입력 2020-12-22 10:06
업데이트 2020-12-22 1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불안한 코로나19
불안한 코로나19 21일 오전 서울 영등포보건소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2020.12.21 뉴스1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1000명 안팎을 기록하는 가운데, 연일 20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오고 있다.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코로나19로 확진돼 치료를 받던 중 숨졌거나 사후 양성 판정을 받은 사망자는 직전일에 이어 전날에도 하루 24명이 나왔다. 이는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인공호흡기와 인공심폐장치(에크모·ECMO) 치료가 필요한 위중증 환자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281명으로 확인됐다.

지난 1일(발표일 기준) 위중증 환자는 97명이었으나 2일(101명) 100명대, 15일(205명) 200명대로 올라선 뒤 계속 규모가 불어나고 있다. 15일부터 일별 위중증 환자는 205명→226명→242명→246명→275명→278명→274명→281명 등이다.

이처렁 코로나19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는 것은 요양병원 등 감염 취약 시설에서 집단발병이 잇따르면서 고위험군으로 꼽히는 60대 이상 고령층 환자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난 13일부터 19일까지 일주일 동안 60세 이상 지역발생 확진자는 313.3명으로, 이전 일주일(12.6∼12)의 219명보다 94.3명 더 많았다.

또한 해당 기간 사망자는 81명이 발생했는데, 60세 이상이 77명으로 95.1%를 차지했다. 사망자 81명의 감염경로를 보면 요양병원에서 감염된 사람이 30명, 요양원이 8명, 의료기관이 2명으로 49.4%를 차지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청장)이 1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및 확진 환자 중간조사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청장)이 1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및 확진 환자 중간조사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최근 요양·정신병원, 또는 요양시설 등을 통한 집단발병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런 감염 취약시설에서 확진자 발생은 곧바로 위중증 환자의 증가, 사망자 증가로 이어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와 관리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감염 취약시설 내 집단감염을 막기 위해 정부는 종사자에 대해 주기적인 진단검사를 의무화했고, 필요하면 신속항원검사를 도입할 수 있게 행정명령을 내렸다.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사망자 증가의 요인으로 “요양병원 등 시설 내 집단감염이 많은 게 첫 번째이고, 두 번째는 환자 수가 증가하면서 의료 서비스를 제때 받지 못하는 것도 문제라고 본다. 대기자 가운데 사망자가 나오는 것도 걱정”이라고 말했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