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헌혈자 42명 확진… 코로나 확진자 혈액제재 45개 수혈에 사용

[속보] 헌혈자 42명 확진… 코로나 확진자 혈액제재 45개 수혈에 사용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0-10-15 18:53
업데이트 2020-10-15 19: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적십자사 국감 자료서 확인

 ‘코로나19, 헌혈에 동참해 주세요’
‘코로나19, 헌혈에 동참해 주세요’ ‘코로나19’로 혈액수급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19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행정안전부에 마련된 헌혈버스에서 공무원들이 헌혈하고 있다. 사진은 본문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2020.2.19
연합뉴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의 혈액으로 만들어진 혈액성분제제 45개가 수혈에 쓰였고 전체 헌혈자 중 42명은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은 수혈을 받았던 환자를 별도로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성주(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헌혈자 중 코로나19 확진자 명단’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으로 올해 전체 헌혈자 중 42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확진자 혈액으로 만들어진 적혈구, 혈소판, 동결혈장 등 혈액성분제제는 총 99개였고, 이 가운데 45개가 병원으로 출고돼 수혈이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됐다.

하지만 보건당국은 환자들에게 코로나19 확진자의 혈액으로 만들어진 수혈 제제를 맞았다는 사실을 통보해주지 않았다. 혈액관리법상 보건당국은 부적격 혈액을 폐기하고, 수혈자에게는 관련 사실을 통보해줄 의무가 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대한적십자사는 지난 2월 ‘혈액안전정례회의’를 열고 신종 감염병과 관련된 혹시 모를 수혈 부작용을 우려해 코로나19 확진자의 혈액을 ‘부적격 혈액’으로 간주하고 폐기하기로 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하지만 3월에 열린 제2차 혈액관리위원회 회의에서 관계 당국은 ‘코로나19 같은 호흡기 바이러스가 혈액을 매개로 감염된 사례가 없다’는 이유로 수혈자에 대한 추적조사 등 별도의 행정조치를 신설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확진 전 출고된 혈액을 수혈받은 환자들은 관련 사실을 모를 뿐만 아니라 사후조치도 받지 못하고 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