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 안익태 ‘친일자료’ 공개… 만주국 지휘 영상

광복회, 안익태 ‘친일자료’ 공개… 만주국 지휘 영상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20-08-20 21:08
업데이트 2020-08-21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애국가 표절 의혹도 제기… “국가 바꿔야”
안익태재단 “공개된 자료… 음악가로 활동”

김원웅 광복회장이 15일 오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제75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0.8.15  연합뉴스
김원웅 광복회장이 15일 오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제75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0.8.15
연합뉴스
광복회가 애국가를 만든 작곡가 안익태의 친일 행적을 뒷받침하는 자료를 공개했다. 최근 광복절을 기점으로 그의 친일 행적을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된 가운데 애국가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지고 있지만,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지난 15일 광복절 축사에서 “안익태의 친일·친나치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고 밝힌 김원웅 광복회장은 20일 해당 자료를 공개했다. 1942년 9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만주국 건국 10주년 음악회에서 축전곡 ‘만주국’을 지휘하는 장면이 담겼다. 영상 일부는 과거에도 공개된 적이 있다. 김 회장은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2개월 전 독일 정부의 안익태 친일·친나치 자료 중 일부가 왔고, 앞으로도 더 올 것”이라고 밝혔다.

광복회는 “에키타이 안(안익태)은 에하라 사저에서 1941년 말부터 1944년 4월 초까지 기거하며 그의 지원을 받아 활동했다”면서 “그 대가로 일본 제국과 나치 독일의 고급 프로파간다로서 용역을 제공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광복회는 과거에도 수차례 제기된 적이 있던 애국가 표절 문제도 다시 제기했다. 선율이 불가리아 노래 ‘오 도브루잔스키 크라이’와 흡사하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새로운 국가를 만들기 위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비슷한 논란이 몇 차례나 거듭된 상황에서 반대 여론도 적지 않다. 김형석 안익태기념재단 연구위원장은 “광복회 자료는 두 차례 공개된 적이 있는 것으로 어떤 새로운 문제점이 발견된 것인지 확인하기 어렵다”며 “만주국 축전곡을 작법하고 지휘한 것은 역사적 사실이지만 정치적 성향을 띤 친일 행위가 아니라 당시 음악가로서의 활동”이라고 반박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20-08-21 8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