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달 만에 문 연 도서관·박물관…시민들 “반갑다”

다섯달 만에 문 연 도서관·박물관…시민들 “반갑다”

김정화 기자
입력 2020-07-22 16:17
업데이트 2020-07-22 16: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서울시 66개 문화시설이 재개관한 22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은 시민들이 입장에 앞서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를 작성하고 있는 모습.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서울시 66개 문화시설이 재개관한 22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은 시민들이 입장에 앞서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를 작성하고 있는 모습.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예약시간이 12시네요. 잠시 대기했다가 정각부터 입장 부탁드립니다.”

22일 오전 11시 50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한 시민이 바코드가 찍힌 티켓을 내밀자 직원이 이렇게 말했다. 코로나19가 확산되자 지난 5월 29일부터 휴관한 서울시 66개 문화시설은 이날부터 운영을 재개했다.

관람 인원 제한, 줄 설 때도 거리두기로 방역
이날 찾은 중앙박물관은 평일 오전인데도 관람객으로 북적였다. 중앙박물관은 사전 예약을 받아 관람 인원을 시간당 300명으로 제한하고, 일일이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를 작성하게 하는 등 입장이 까다로웠지만 시민들은 설렘을 감추지 못했다.

가족들과 박물관을 방문한 권보라(32)씨는 “아들 두명이 5살, 3살로 어려서 그동안 아무데도 못 가다 처음으로 나왔다”며 “아직도 사람들이 많은 곳은 불안하지만, 오랜만에 전시를 보니 기분 전환이 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서울시 66개 문화시설이 재개관한 22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 입구에 놓인 전자출입명부(QR코드) 안내문.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서울시 66개 문화시설이 재개관한 22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 입구에 놓인 전자출입명부(QR코드) 안내문.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초등학교 4학년 아들과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을 찾은 40대 장모씨는 “아이가 요즘 장영실과 이순신 관련 책을 읽고 있는데 직접 관련 유물을 보여주려고 찾았다”며 “사전 예약을 했는데, 전시실이 붐비지 않아 좋다”고 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사전 예약을 포함해 시간당 130명으로 입장 인원을 제한했다.

출입 까다롭지만 “몇 달 만의 재개관 좋아”
도서관과 열람실에도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중구 서울도서관에서 만난 문영희(70)씨는 “여기서 매일 자격증 공부를 했는데 그동안 오지 못해 답답했다”며 반가움을 표했다. 서울도서관은 회원에 한해 대출·반납 서비스를 이용하되 열람실에서 도서 등을 열람할 수는 없게 했다.

문씨는 “출입 때 전자출입명부(QR코드)를 작성하게 했는데, 낯설었지만 직원들이 인증을 모두 도와줘 수월했다”며 “열람실에 있을 수가 없어 신문, 잡지 등 간행물도 볼 수가 없는 건 아쉽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국립중앙도서관 내일부터 운영 재개
국립중앙도서관 내일부터 운영 재개 지난 20일 서울 서초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한 직원이 재개관 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마포구 마포평생학습관 열람실을 찾은 20대 대학생 김모씨는 “입구에서 신원 조사도 확실히 하고, 사람이 많지 않아 거리두기가 유지되는 것 같다”며 “그동안 공부할 곳이 마땅치 않았는데 열람실이 다시 문을 열어 다행”이라고 말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