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대북전단 살포 설비 사용 금지’ 행정집행

경기 ‘대북전단 살포 설비 사용 금지’ 행정집행

김병철 기자
입력 2020-06-17 20:58
업데이트 2020-06-18 06: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북풍선단 대표 자택에 안내장 부착

北접경 5개 시·군 ‘위험구역’ 첫 설정
사진은 2016년 4월 2일 경기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자유북한운동연합 등 탈북단체들이 대북전단을 날리는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 2016년 4월 2일 경기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자유북한운동연합 등 탈북단체들이 대북전단을 날리는 모습. 연합뉴스
경기도가 17일 북한 접경 5개 시·군 전역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해 대북전단(삐라) 살포자의 출입을 원천 금지한 데 이어 한 대북전단 살포단체 대표의 집을 방문해 전단 살포에 쓰이는 고압가스 설비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의 안내장을 붙이는 등 행정집행에 나섰다.

경기도는 이날 오후 1시쯤 특별사법경찰관 등 30여명과 함께 포천시 소홀읍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준비 중인 북한동포직접돕기운동 대북풍선단 이민복 대표의 집을 찾아가 전단 살포에 쓰이는 수소가스 저장용기에 ‘사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시장 명의 안내장을 붙였다. 이 설비를 무단 사용하면 법규 위반에 해당해 처벌받는다는 내용의 행정명령 통지서도 전달했다. 대북전단 살포 당사자에 대한 첫 행정명령 집행이다. 북한동포직접돕기운동 대북풍선단은 2005년부터 풍선 등을 활용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이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는 또 대북 접경지역인 연천·파주·김포·고양·포천 등 5개 시·군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해 오는 11월 말까지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금지한다는 내용의 ‘위험구역 설정 및 행위 금지 행정명령’도 공고했다. 위험구역으로 설정되면 대북전단 살포 관계자의 출입은 물론 대북전단 관련 물품의 준비, 운반·살포·사용 등 일체의 삐라 살포 관련 행위가 금지된다. 대북전단 살포 관련 금지구역이 설정된 것은 처음이다.

명령을 위반하면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이 현행범으로 체포한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제41조(위험구역의 설정)에 의거해 1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최근 페이스북에서 “막무가내로 대북전단을 살포하겠다는 것은 군사적 충돌을 유발하고 한반도에 긴장을 높이겠다는 위험천만한 위기 조장 행위이자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사회재난 유발 행위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사전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20-06-18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