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근무 두 얼굴… “애 보며 일해 안심” vs “논다 할까 수시 보고”

재택근무 두 얼굴… “애 보며 일해 안심” vs “논다 할까 수시 보고”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20-03-01 22:20
업데이트 2020-03-02 0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發 늘어나는 직장인 재택근무

원격 근무 프로그램·메신저로 업무 척척
“어린이집도 휴원… 일·육아 병행해 만족”
대면 회의나 긴밀한 소통 어려워 단점도
중소기업이나 생산직은 상대적 박탈감
이미지 확대
지난달 2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수출입은행 본점에서 직원들이 방호복과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전날 은행은 직원 한 명이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자 건물을 폐쇄하고 방역작업을 벌였다. 연합뉴스
지난달 2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수출입은행 본점에서 직원들이 방호복과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전날 은행은 직원 한 명이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자 건물을 폐쇄하고 방역작업을 벌였다.
연합뉴스
#1. 공공기관 직원인 조모(45)씨는 최근 사흘 동안 집에서 일했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심각해지자 회사가 필수 유지인력을 뺀 직원의 재택근무를 독려했기 때문이다. 조씨는 “직장 어린이집이 휴원해 아들(4)을 맡길 곳이 마땅치 않았는데 집에서 일하면서 아이도 돌볼 수 있어 안심이 된다”며 만족해했다.

#2. 스타트업 기업에 다니는 김소영(가명·28)씨는 회사 대표가 2주간 임시 재택근무를 제안한 덕에 지난달 27~28일 이틀간 출근하지 않았다. 재택근무 첫날은 자취 중인 원룸에서 노트북으로 업무를 본 김씨는 이튿날에는 집 근처 카페에 자리를 잡았다. 그는 “출퇴근 시간을 아낄 수 있는 점은 좋지만 집에 있으니 일에 집중이 잘 안 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고자 재택근무를 임시 도입한 기업들이 늘고 있다. 반응은 제각각이다. 굳이 사무실에 나가지 않아도 메신저나 원격 근무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는 건 긍정적인 점이다.

다만 대면 회의를 통해 긴밀히 소통할 수 없는 점, 일의 집중도가 낮다는 점 등은 단점으로 꼽힌다. 일부 중소기업이나 서비스 직군, 생산직 등 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업종 종사자는 재택근무를 바랄 수 없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기도 한다.

1일 직장인앱 ‘블라인드’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27일까지 국내기업 재직자 24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의 29%가 코로나 19 감염 예방을 위해 재택근무를 하고 있거나, 재택근무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모(25)씨가 다니는 광고대행사는 회사 직원이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을 지나간 사실이 확인되자 전 사원 재택근무에 들어갔다. 김씨는 “불필요한 야근이나 눈치 보는 시간이 줄어 업무 효율이 더 높아졌다”며 “팀원들과 수시로 하던 회의가 어렵고 집에는 듀얼 모니터도 없지만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말했다.

재택근무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직장인도 있다. 윤시원(가명)씨는 “집에서 일하니 일과 생활이 분리되지 않는 느낌”이라며 “놀고 있다는 오해를 받기 싫어 평소보다 자주 보고를 하고 일이 끝난 뒤 일지를 꼼꼼히 작성해 보내야 하는 것도 번거롭다”고 말했다. 한 게임업체는 재택근무를 하는 직원들에게 1시간 단위로 업무 진행 상황을 보고하라고 요구해 원성을 사기도 했다.

재택근무가 그림의 떡인 직장인도 있다. 중소기업 직원 김모씨는 “임원에게 재택근무 얘기를 꺼냈더니 정 쉬고 싶으면 연차를 쓰거나 무급휴직을 하라고 한다. 직원들의 건강과 안전은 안중에도 없다”고 불평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20-03-02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