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 비상인데 상담받고서 ‘뻥이야’…철없는 1339 장난전화

신종코로나 비상인데 상담받고서 ‘뻥이야’…철없는 1339 장난전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02-11 18:14
업데이트 2020-02-11 18: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끝 모를 코로나, 쉼 없는 ☎ 1339
끝 모를 코로나, 쉼 없는 ☎ 1339 11일 서울 영등포구 질병관리본부 ‘1339 콜센터’에서 상담원들이 국민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문의에 응대하고 있다. 1339 콜센터는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상담원 이외 보건·의료 등 전문인력 19명이 상주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로 온 나라가 비상인 상황에서도 허위신고나 장난전화가 있다고 한다. 상담을 받은 뒤 “뻥인데?”라고 하며 끊는 사람도 있다. 박혜미 1339 콜센터장은 “장난전화에 대응하는 사이에 진짜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놓칠 수 있다”고 호소했다.
사진공동취재단
“네, 1339 콜센터입니다.”

“어라? 진짜(연결)되네…뚜뚜뚜뚜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으로 온 나라가 비상인 이때 상담 전화인 질병관리본부 1339 콜센터로 허위신고나 장난전화를 하는 이들이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전화가 걸리자마자 끊는 장난 전화는 약과다. 1339 상담원으로부터 실컷 상담을 받고나서 “뻥인데!”라고 하며 끊는 사람도 있다.

박혜미 1339 콜센터장은 11일 서울 영등포구 질병관리본부 1339 콜센터를 찾은 기자들에게 장난전화 사례를 소개하며 “이런 전화는 정말 자제 부탁드린다. 대응하는 사이에 진짜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놓칠 수 있다”고 호소했다. 24시간 연중무휴 운영되는 콜센터의 특성상 심야 시간대에는 주취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기도 한다. 주절주절 이야기하는 주취자의 특성상 이런 전화는 빨리 끊기도 어렵다.

콜센터 직원의 1인당 평균 응대시간은 3분 정도다. 중국을 다녀온 민원인과 전화할 때는 좀더 길게 통화하고, 출입국 이력이 없는 사람과 통화 할 때는 그 보다 빨리 상담을 마친다고 한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초기에는 3분 통화도 어려웠다”고 말했다. 설 연휴 이후 상당요청 건은 평균 1만 5000콜(1월28~2월10일) 수준이었다. 지난달 28일까지만 해도 19명이 응대하느랴 상담요청 처리율은 9%로 최저 수준이었다. 하지만 이달 4일 기준으로 596명까지 인력이 확대된 뒤로는 80~90% 수준까지 올라갔다. 박 센터장은 “지금은 응대율이 95%까지 상향돼 연결 지연이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김성신 1339 콜센터 부문장은 “전화는 기존보다 10배 이상 늘었는데, 초반에는 19명이서 일하다보니 굉장히 힘들었다”고 말했다. 걸려오는 전화는 대부분 ‘증상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하느냐’, ‘일반 진료소로 가야 하느냐, 선별진료소로 가야 하느냐’ 등이다. 대개 막연한 불안감을 호소한다. 박 센터장은 “예를 들어 주변에 중국인이 지나가기만 했는데도 전화를 하시는 분도 있다”며 “막연한 불안감이 크다”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로 ‘중국 포비아’가 확산하면서 단지 아랫집에 중국인이 산다는 이유로 불안해하며 콜센터로 전화를 건 이도 있다. 박 센터장은 “중국인과 한 빌라 건물에 있는데 집에 100일 된 아이도 있어 문고리도 휴지로 잡는다고, 걱정된다는 전화가 왔었다”며 “현재 물건으로 인한 전파 사례는 없으니 안심하시라고 하고, 그 분(중국인)자가격리 중이니 움직임을 최소화하시라. 다시 한 번 연락드리겠다고 안내했다”고 말했다.

중국, 베트남 등 외국인의 상담전화도 하루에 20~30건 정도 걸려오고 있다. 이런 경우 통역의 도움을 받아 안내한다. 최대 20개국 언어로 상담이 가능하다고 콜센터 관계자는 말했다. 중국 방문 이력이 없으면 일반진료소에 가라고 안내하는데, 10명 중 8명은 흔쾌하게 “일반진료 받아도 돼요?”라고 답한다고 한다.

초반에는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는 콜센터에 대한 불만이 쏟아졌지만 최근에는 응원 메시지도 잇따르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콜센터 직원들 고생한다고 한 협회에서는 커피를 몇 주간 지원해주시고, 빵을 계속 주신다는 분들도 있다. 따뜻한 응원메시지도 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