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응급구조 드론, 국제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UNIST 응급구조 드론, 국제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박정훈 기자
박정훈 기자
입력 2020-02-11 14:53
업데이트 2020-02-11 14: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드론 제작 전문업체와 공동으로 생산 추진

이미지 확대
UNIST 교수팀이 산악 등 험지 응급구조용으로 디자인 한 ‘911$ 응급구조 드론’. UNIST 제공.
UNIST 교수팀이 산악 등 험지 응급구조용으로 디자인 한 ‘911$ 응급구조 드론’.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에서 디자인 한 ‘응급구조 드론’이 국제 디자인 어워드 본상을 받았다.

11일 UNIST에 따르면 정연우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팀에서 개발한 ‘911$ 응급구조 드론 디자인’이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2020’ 프로페셔널 콘셉트 부문에 본상을 받았다.

정 교수팀의 응급구조 드론은 ‘하늘을 나는 들것’이다. 환자를 옮기는 들것에 8개의 프로펠러와 유선 배터리팩을 연결한 형태다. 지상에서 1m 상공에 들것을 띄워 이동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들것에 설치된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해 수평을 유지하고, 구조대원이 배낭처럼 멘 배터리팩과 연결된 선을 따라 이동하는 ‘팔로우 미’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외부에 배치해 들것의 무게를 줄이고 체공 시간을 늘렸다.

이 드론은 환자 1명을 구조하려고 4명 이상의 구조대원을 투입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하산 과정에서 환자 상태를 악화시키는 불안정성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 교수팀은 디자인 콘셉트에 그치지 않고 실제 양산을 위한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드론 제작업체인 ‘드론돔’과 함께 실제 작동 방식과 구조를 고려한 양산 설계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전 세계에 응급구조 드론을 보급할 목표를 세웠다.

정 교수는 “험한 지형에서 골든타임 안에 환자를 구조하려면 효율적 이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드론을 이용하면 열악한 구조 환경을 극복하고, 더 많은 생명을 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에 개발한 드론은 보편적 기술을 적용해 합리적인 가격에 제작·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저개발 국가와 제3세계에서도 널리 활용돼 생명을 구하는 데 쓰일 수 있는 디자인”이라고 강조했다.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는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중 하나로 꼽힌다. 올해는 56개국에서 7300여개의 작품이 출품됐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