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노동자 절반은 하루 1시간도 못 쉰다

IT 노동자 절반은 하루 1시간도 못 쉰다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9-11-08 10:39
업데이트 2019-11-08 1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초과근무 줄었지만, 업무 강도는 높아져
응답자 47.8%는 퇴근 시 번아웃 경험, 직장 내 괴롭힘 여전

‘크런치모드’(마감을 맞추려고 야근과 특근을 반복하는 것)로 대표되는 정보기술(IT)업계 노동자들의 노동 현실이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에도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과근무 시간은 줄었지만, 업무강도가 높아지면서 점심시간을 포함한 휴식시간은 1시간이 채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노총과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IT 노동자 노동환경 실태 조사를 발표했다. 실태 조사는 지난 4~10월까지 IT 노동자 13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IT 노동자들의 열악한 근무 실태는 노동자들의 잇따른 사망을 계기로 수면 위로 떠올랐다. 2016년 7월 넷마블 관계업체의 30대 직원이 급성심정지로 돌연사했고, 같은 해 11월 본사의 20대 노동자가 급성심근경색으로 세상을 떠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1360명 중 80.4%는 근무시간이 하루 8~10시간이었으며, 주당 평균 야근시간도 주 5시간 미만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52.9%였다. 이전과 같은 장시간 노동은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업무강도는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점심시간을 포함한 휴게시간이 1시간 미만’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절반(46.4%) 정도였다.

주52시간제 시행 전과 비교하면 근무시간을 줄었지만, 대체휴가나 연차 등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잦았다. 또 전체 응답자의 74.2%는 ‘업무량이 많고 높은 수준의 요구에 쫓기면서 작업한다’고 답했고, 61.8%가 ‘여러 업무를 동시에 수행한다’고 했다. 업무 피로도에 대한 질문에도 퇴근 시 번아웃을 경험한 경우가 47.8%, 과거보다 피로도가 증가했다는 답변을 한 경우가 39.7%로 나타났다.

직장 내 괴롭힘도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했거나 목격한 적이 있다’(전체 응답자의 19.4%)고 답한 노동자 가운데 13.6%는 자살과 같은 극단적 선택을 고려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직장 내 괴롭힘의 가해자는 팀장급 관리자가 33.9%, 동료가 31.6%로 가장 많았고, 회사에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한 경우는 18.9%에 그쳤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