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 안 짓고도 청년이 살 수 있는 농촌 만들 겁니다”

“농사 안 짓고도 청년이 살 수 있는 농촌 만들 겁니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9-11-07 22:14
업데이트 2019-11-08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촌 청년 미디어기업 서혜림·정명진씨

이미지 확대
정명진(왼쪽)씨와 서혜림씨는 각각 2010년, 2015년에 서울 생활을 접고 홍성으로 귀촌했다. 홍성에서 처음 만난 두 사람은 농촌 청년 미디어그룹 ‘로컬스토리’를 창업했다. 정명진·서혜림씨 제공
정명진(왼쪽)씨와 서혜림씨는 각각 2010년, 2015년에 서울 생활을 접고 홍성으로 귀촌했다. 홍성에서 처음 만난 두 사람은 농촌 청년 미디어그룹 ‘로컬스토리’를 창업했다.
정명진·서혜림씨 제공
서울서 영어강사·기자 관두고 홍성 귀촌
농가 주택서 출판·기획·콘텐츠 제작 창업
“농촌의 성장 돕는 선순환 시도 많았으면”


“서울에선 꽤 잘나가는 영어강사였어요. 어느 날 갑자기 인생 2막을 준비해야겠다, 내 삶에 쉼표를 찍고 싶다는 생각이 본능적으로 들었죠. 서울 생활을 정리한 뒤 2015년 9월에 백팩 하나 메고 홍성으로 내려왔어요.”(서혜림·39)

“‘농사지으면서 기자 하실 분 구합니다.’ 귀농 운동본부 사이트에서 구인 공고를 보고선 귀촌을 결심했어요. 서울에서도 기자를 했는데, 홍성에서 좀더 사람 사는 냄새 나는 글을 써 보고 싶었죠. 마침 배우자도 도시를 떠나고 싶어 해 2010년 홍성에 터를 잡았습니다.”(정명진·38)

7일 충남 홍성에서 만난 두 사람은 농촌 청년 미디어기업 ‘로컬스토리’의 공동 창업자다. 서울 생활을 접고 홍성으로 귀촌해 농가 주택에 살며 행사 기획, 출판, 마을 콘텐츠 제작 등 미디어와 관련한 모든 일을 한다. 농촌 지역에 청년이 살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드는 일이 이 기업의 창업 가치이자 두 사람의 꿈이다.

명진씨는 귀촌한 뒤 한동안 홍성신문 기자로 일하다가 혜림씨를 만났다. 그는 “지역에도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아무도 시도하려 하지 않았다”며 “혜림씨와 길자라는 친구를 만나 미디어 협동조합을 만들기로 의기투합했다”고 말했다.

도시도 아닌 농촌에서 갓 창업한 청년들에게 세상은 녹록지 않았다. 한 달에 20만원을 받는 달도, 80만원을 받아 가는 달도 있었다고 혜림씨는 말했다. 혜림씨는 “처음 200만원짜리 일을 받고선 감동해 다 같이 울기도 했다”고 말했다. 셋이서 마을의 빈집을 빌려 시작한 회사는 귀촌한 청년들과 귀촌 1.5세대(부모가 귀촌) 청년 9명이 운영하는 어엿한 회사가 됐다.

명진씨는 “청년들은 귀촌하려고 해도 먹고살 방법이 없다”며 “로컬스토리가 처음 만든 영상도 농사는 짓지 않지만 농촌에서 살고 싶은 청년들의 이야기였다”고 말했다.

귀촌 초기 두 사람의 삶은 어땠을까. 혜림씨는 로컬스토리를 시작하기 전 홍성에서 처음으로 농장 아르바이트를 해 보고는 청년 농민의 꿈을 접었다. 일이 익숙지 않은 탓에 자주 아파 응급실에 실려 간 날도 있었다. 혜림씨는 귀촌을 결심하기 전에 먼저 일자리를 찾길 권했다. ‘맨땅에 헤딩하는’ 식으로 내려오기에는 리스크가 크다고 했다. 로컬스토리 직원 중에는 ‘귀촌하고 싶은데 로컬스토리에 취업할 수 있느냐’고 묻고 홍성으로 내려온 이도 있다고 한다.

명진씨는 “청년은 땅을 빌려 농사를 짓기도 어렵고, 농사를 잘하기도 어렵다”면서 “그런 청년들도 농촌에서 살아남고, 성장한 청년이 다시 지역을 돕는 생태계 선순환이 되도록 많은 시도가 이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홍성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9-11-08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