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네이버스, 유산기부자 위한 ‘더네이버스레거시클럽’ 발족

굿네이버스, 유산기부자 위한 ‘더네이버스레거시클럽’ 발족

입력 2019-09-11 10:57
업데이트 2019-09-11 1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실시한 한국자선단체협의회의 ‘유산기부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26.3%가 사회에 유산을 기부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지만, 국내에는 기부 규모를 확인할만한 통계조차 없을 정도로 유산기부가 미비한 수준이다.

이에 국제구호개발 NGO 굿네이버스(회장 양진옥)가 한국자선단체협의회 및 8개 민간단체와 함께 ‘유산기부 인식개선 캠페인’을 진행하는 한편 유산기부자를 위한 ‘더네이버스레거시클럽’을 발족했다고 밝혔다.

굿네이버스는 지난 8월 27일부터 유산기부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한국자선단체협의회 및 8개 민간단체와 함께 ‘나누고 남기다’라는 주제로 유산기부 인식개선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민들에게 다양한 나눔의 방법을 제시하고, 유산기부의 인식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이번에 발족한 ‘더네이버스레거시클럽’은 유산기부 및 약정기부를 이행하기로 서약한 특별회원들의 모임으로, 유산기부를 원하는 기부자별 욕구에 맞춰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 약정서 및 유언장 작성부터 유언 집행, 사업 수행과 결과보고까지 유산기부의 절차를 체계적으로 안내받을 수도 있다. 유산기부 관련 법률, 세무, 금융 등의 자문을 제공하기 위해 굿네이버스는 관련 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지난달에는 김앤장 사회공헌위원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대한변호사협회, 법무법인 신우, 세무법인 명품, 우리은행과도 업무협약을 앞두고 있다.

한편, 실제로 유산기부에 동참한 굿네이버스 회원들의 나눔은 국내·외 소외된 이웃에게 희망을 전하고 있다. 굿네이버스 1호 유산기부자로 등록된 故유옥희 씨는 1992년 투병 중 3천만 원 기부를 약정했다. 이후 전달된 기부금은 방글라데시 시라지간지 지역에 농장 및 농업기술센터를 설립하는데 사용됐으며, 이를 통해 지역주민의 자립을 돕고 있다.

또한 2009년부터 네팔 훔라 지역 아동과 1:1 결연을 통해 나눔을 실천해 온 강혜숙, 故김한상 부부는 갑작스러운 사고로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조의금을 기부했다. 이들 부부의 나눔으로 아프리카 차드 왈리아 지역에 아이들과 주민들을 위한 6개 식수 시설이 설치됐고 아이들은 위생교육도 받게됐다.

황성주 굿네이버스 나눔마케팅본부장은 “영국의 경우 2016년 기준 유산기부 규모는 약 3조 3천억 원으로 전체 모금액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유산기부가 활성화되어 있다”면서 “우리 사회에도 유산기부가 보편적인 기부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한편, 매년 9월 13일은 영국이 지정한 국제 유산기부의 날이다. 지난 10일 국회의사당 의원회관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한 ‘대한민국 유산기부의 날 선포식’이 열렸다. 국회기부문화선진화포럼의 공동대표인 원혜영, 이주영 국회의원과 이일하 한국자선단체협의회 이사장이 참석했으며, 유산기부 현황과 필요성 등 다양한 논의가 진행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