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인과 세상 잇는 수어, 보편적 언어 정착 필요”

“청각장애인과 세상 잇는 수어, 보편적 언어 정착 필요”

손지은 기자
손지은 기자
입력 2019-08-30 00:56
업데이트 2019-08-30 0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어통역가·장애인 인권활동가 김철환

이미지 확대
수어통역가·장애인 인권활동가 김철환
수어통역가·장애인 인권활동가 김철환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장에 지난 4월 특별한 통역이 등장했다. 정의당 추혜선 의원이 장애인의 영화 관람 환경을 개선하는 내용을 담은 ‘장애인차별금지법 개정안’을 발의하는 자리였다. 추 의원은 당시 “앞으로 항상 수어(수화언어) 통역을 함께 진행하겠다”고 약속했고, 이후 정론관에 설 때면 수어통역사이자 장애인 인권활동가인 김철환(54)씨 등 3명이 수어 통역을 한다.

29일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활동가인 김씨를 국회에서 만났다.

김씨는 “수어 통역이 전문 분야는 아니고 1990년대에 장애인 인권 상담을 하기 위해 수어와 점자를 배웠다”며 “당시 청각장애인 친구들을 많이 사귀었고, 소통이 되니 서너 시간씩 대화를 하곤 했다”고 말했다. 그러다 2011년 영화 ‘도가니’로 알려진 광주 인화학교 사건을 계기로 수어가 보다 보급돼야 한다는 신념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씨는 “인화학교 사건을 불통의 문제라는 측면에서 바라봤고, 이후 소수 언어가 보편적인 언어의 지위를 갖게 하기 위해 많은 활동을 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수어를 보편적 언어로 정착시키는 운동을 펼치면서 처음에는 청와대가 가장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라고 봤다”며 “청와대가 시작하면 다른 공공기관에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청와대에 이어 국회가 두 번째 목표였는데 추 의원이 용기를 냈다”며 “한 번 하고 말 줄 알았는데 계속 부르더라”고 덧붙였다.

김씨는 “국회에서 상임위원회 회의나 기자회견을 하면 자막이 없어 청각장애인들은 무슨 내용인지 알 수가 없다”며 “특히 장애인 복지 현안에 대한 내용인 경우에 정작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 분들이 ‘저게 무슨 내용이냐’고 묻는다”고 설명했다.

김씨가 활동하는 단체와 한국농아인협회, 추의원은 국회에 수어통역사를 배치해 청각장애인의 정보접근권을 보장해 달라고 지난 7월 청원을 했다. 장애인 복지 관련 기자회견에 수어 통역 배치를 의무화하고 보건복지위원회부터 단계적으로 상임위 회의에 수어 통역을 제공하라는 내용을 담았다.

글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사진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2019-08-30 27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