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위안부 피해 할머니 또 별세… 올해만 5명째

日 위안부 피해 할머니 또 별세… 올해만 5명째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19-08-05 01:06
업데이트 2019-08-05 09: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존자 20명으로 줄어···절반이 90대

이미지 확대
29일 오전 경기도 오산시청 평화의 소녀상에 시민들이 헌화한 꽃이 놓여 있다. 2019.7.29  연합뉴스
29일 오전 경기도 오산시청 평화의 소녀상에 시민들이 헌화한 꽃이 놓여 있다. 2019.7.29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 한 명이 4일 별세했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20명으로 줄었다.

정의기억연대는 이날 “서울에 거주하던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 A할머니께서 8월 4일 오전 하늘로 가셨다”고 밝혔다.

정의연은 “할머니가 아프고 고통스러운 기억을 모두 잊고 편안하기를 바란다”고 추모했다. 장례 절차는 A할머니와 유가족의 뜻에 따라 비공개로 진행될 예정이다.

A할머니를 포함해 올해 별세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는 모두 5명이다.

지난 1월 28일에는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임을 공개 증언하고 위안부 문제 해결에 앞장서 온 김복동(93) 할머니가 별세했고, 이모(94) 할머니도 같은 날 세상을 떠났다. 지난 3월에는 60년간 중국에서 살다 2004년 극적으로 고국으로 돌아온 광주·전남 지역 유일한 생존자 곽예남(94) 할머니가 별세했다. 지난 4월에는 피해 할머니 한 명이 3월에 별세했다는 소식이 뒤늦게 전해졌다.

A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20명으로 줄었다. 생존자 20명은 모두 85세 이상의 고령으로,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90세가 넘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19-08-05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