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장마 오늘 ‘끝’…내일부터 폭염·열대야 본격화할 듯

올해 장마 오늘 ‘끝’…내일부터 폭염·열대야 본격화할 듯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7-28 11:33
업데이트 2019-07-28 1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앞으로 열흘간 낮 최고기온 서울 30∼33도·대구 34∼36도 예상기상청 “작년 같은 최악 폭염 가능성은 작아”

이미지 확대
오락가락 장맛비
오락가락 장맛비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전국이 흐리고 곳곳에 비가 내리는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계천을 찾은 관광객 일부가 우산을 쓰고 있다. 2019.7.28 뉴스1
장맛비가 28일 오후 그치면서 월요일인 29일부터 무더위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장마전선이 이날 오후 중부지방에서 북한으로 올라가면서 올여름 장마는 종료될 전망이다.

지난달 26일 전국적으로 동시에 장마가 시작한 이래 32일 만이다.

장마가 끝난 뒤에도 집중호우는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지만, 당분간 국지적인 소나기를 제외한 비 소식은 없다.

기상청의 중기(열흘) 예보를 보면 29일부터 다음 달 6일까지 맑거나 구름이 많은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비가 그치면서 수은주도 올라 장맛비가 올 때 25∼28도 수준이던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29일부터 다음 달 6일까지 30∼33도일 것으로 예보됐다.

이 기간 대구의 낮 최고기온은 34∼36도에 이를 전망이다.

폭염의 기준은 ‘낮 최고기온 33도’이다.

서울의 평년(1981∼2010년 연평균) 폭염 일수는 6.6일이다.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2010년대 들어 작년까지 9년간 연평균 폭염 일수는 12.3일에 달했다.

밤사이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을 유지하는 열대야의 경우 서울에서 평년 8.5일, 2010년대 들어 작년까지 9년간 연평균 17.8일 나타났다.

올해 들어 27일까지 서울의 폭염·열대야 일수는 아직 각각 4일·3일로, 29일 이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올해 더위가 사상 최악이었던 작년 수준까지는 아닐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본다.

작년 8월 1일에는 강원도 홍천의 수은주가 41.0도까지 올라 우리나라 기상관측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서울도 같은 날 기온이 39.6도까지 올라 서울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김동준 기상청 기후예측과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작년에는 장마가 끝난 뒤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다”며 “올해는 우리나라가 더운 기단 안에 들어가더라도 중간중간 비가 내려 폭염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기록적인 폭염과 깊은 관련이 있는 티베트 고기압의 상황도 다르다.

작년에는 여름철 우리나라 더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자리 잡은 가운데 고도가 높은 티베트 일대 공기가 데워진 뒤 동쪽으로 이동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압계 상·하층이 모두 뜨거워져 기온이 치솟았다.

올 여름에는 티베트 고기압의 세력이 지난해에 못 미친다. 티베트 고원에 작년 가을부터 올해 4월까지 평년보다 많은 눈이 덮여 있었는데 이 눈이 티베트 일대 기온 상승을 저지했다.

김 과장은 “올해도 티베트 고기압이 발달하기는 했지만, 작년보다는 훨씬 약하다”며 “작년에는 우리나라를 덮었지만, 올해는 가장자리가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걸치는 정도일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통계상 우리나라 기온이 가장 높은 시기는 7월 하순부터 8월 상순까지”라며 “작년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올해도 이 기간 가장 더웠다가 그 이후 기온이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