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뇌물수수 재판에 증인채택된 MB 사위 불출석

MB 뇌물수수 재판에 증인채택된 MB 사위 불출석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4-17 16:17
업데이트 2019-04-17 16: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찰, 제3자 뇌물수수죄·업무상 횡령 혐의 추가

법정 향하는 이명박 전 대통령
법정 향하는 이명박 전 대통령 이명박 전 대통령이 17일 오후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항소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2019.4.17
연합뉴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횡령 재판에 증인으로 채택된 이 전 대통령의 사위 이상주 변호사가 재판에 불출석했다.

서울고법 형사1부(정준영 부장판사)는 17일 이 전 대통령의 2심 공판 때 이 변호사를 증인으로 불러 신문할 예정이었으나 이 변호사가 출석하지 않아 신문 기일을 연기했다.

이 변호사에 대한 증인 신문은 내달 10일로 다시 잡혔다.

이 변호사는 이 전 대통령이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에게서 거액의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를 규명할 핵심 증인으로 꼽힌다.

이팔성 전 회장은 2007년∼2011년 이상득 전 의원이나 이 변호사 등을 통해 이 전 대통령 측에 22억5천만원의 현금과 1천230만 원어치 양복을 뇌물로 건넸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

그러나 이 변호사는 이 전 회장의 금품 제공 내역에 대해 “한 번 외에는 다 허위”라며 “이팔성이 ‘가라(허위)’로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재판부는 10일 재판에서 이 변호사가 “이팔성의 뇌물을 직접 받아 전달했고, 사실관계에서도 추가로 확인할 점이 있다”며 증인으로 채택한 바 있다.

한편 검찰은 이날 이 전 대통령의 혐의에 특가법상 제3자 뇌물수수죄를 예비적으로 추가한다고 밝혔다.

국정원으로부터 자금을 상납받았다는 내용에 대해서도 뇌물 외에도 예비적 죄명으로 업무상 횡령을 추가했다.

다만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이 직접 뇌물을 수수했다는 주장을 철회하거나 그로부터 후퇴하는 것은 아니라며 “다스를 수익자로 하는 제3자 뇌물수수죄를 추가해 처벌 공백의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검찰이 예비로 공소사실에 추가한 제3자 뇌물수수 혐의, 국정원 자금에 관한 횡령죄 모두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