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곽예남 할머니 별세…생존자 22명

위안부 피해자 곽예남 할머니 별세…생존자 22명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3-02 14:38
업데이트 2019-03-02 14: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의연 “힘든 삶 살아내셨는데도 일본 사죄 받지 못해”

이미지 확대
위안부 피해자 곽예남 할머니 별세
위안부 피해자 곽예남 할머니 별세 광주·전남에 유일하게 생존해 있던 위안부 피해자 곽예남 할머니가 2일 별세했다. 향년 94세. 지난 1월 28일 고(故) 김복동 할머니가 세상을 떠난 지 33일 만이다. 이로써 위안부 피해자 생존자는 22명으로 줄었다. 빈소는 전주병원 장례식장 VIP실 별관 특실에 차려졌다. 사진은 지난 2018년 충남 천안 국립 망향의 동산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인사 나누는 곽 할머니. 2019.3.2 연합뉴스 자료사진
광주·전남에 유일하게 생존해 있던 위안부 피해자 곽예남 할머니가 2일 별세했다. 향년 94세.

지난 1월 28일 고(故) 김복동 할머니가 세상을 떠난 지 33일 만이다.

이로써 위안부 피해자 생존자는 22명으로 줄었다.

곽 할머니의 빈소는 전주병원 장례식장 VIP실 별관 특실에 차려졌다.

곽 할머니는 1944년 봄 만 열아홉살의 나이로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다.

지옥 같은 시간을 보내고 일본의 패전으로 풀려난 곽 할머니는 중국에서 60여년을 살았다.

우여곡절 끝에 2004년에서야 가족들의 노력으로 고국에 돌아온 곽 할머니는 2015년 12월 폐암 4기로 6개월 시한부 판정을 받았지만, 병환이 더 진전되지 않아 3년이 넘는 선물 같은 시간을 보냈다.

하지만 이런 곽 할머니를 둘러싸고 석연찮은 일이 계속됐다.

이른바 봉침 목사로 알려진 이 모 목사가 곽 할머니의 수양딸이 된 것을 두고 시민단체는 “곽 할머니를 이용하려는 것”이라며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았다.

SBS TV ‘그것이 알고싶다’는 지난달 23일 ‘봉침스캔들 목사의 수상한 효도’ 편을 통해 곽 할머니에게 접근한 이 목사의 석연치 않은 행적을 방송한 바 있다.

한편,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페이스북을 통해 곽 할머니의 부고를 전하면서 “할머니는 어쩔 수 없이 중국에 머물면서도 고국의 국적을 버리지 못하고 힘든 생을 어렵게 버텨내셨지만 결국 일본 정부의 사죄 한 마디 받지 못했다”고 안타까워했다.

정의연은 “(곽 할머니는) 힘든 삶이었으나 온 힘을 다해서 살아내셨다”며 “강한 생명력으로 살아내신 삶, 잊지 않겠다”고 추모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