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이 애들을 볼모로 삼다니”…맞벌이 부모들 발 동동

“유치원이 애들을 볼모로 삼다니”…맞벌이 부모들 발 동동

신성은 기자
입력 2019-02-28 17:12
업데이트 2019-02-28 17: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유총 개학 무기한 연기 선언에 ‘분노’…“이번 기회에 적폐 청산해야”

사건팀 =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가 유치원 개학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발표하자 어린아이를 둔 가정을 중심으로 “아이들을 볼모로 자기들 잇속만 챙긴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맞벌이 부모들은 “3·1절 연휴가 끝난 뒤부터 당장 아이들을 어디에 맡겨야 하냐”며 발을 동동 구르며 안타까워 했다.

28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에서 만난 오모(39)씨는 “유치원단체가 개학을 연기한 것은 자기들의 이익만 추구하는 이기적인 행동”이라고 비판하고 “아이들을 볼모로 잡는 한유총의 결정이 설령 옳더라도 아무도 동의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씨는 “나는 그나마 주부라서 유치원이 문을 닫으면 하루 집에서 아이를 돌볼 수 있지만 직장에 다니는 맞벌이 부부에게는 단 하루라도 개원 연기가 큰 부담”이라며 “이런 갑작스러운 집단행동에 지지를 보내는 부모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6살 아이를 둔 맞벌이 부부 김모(33)씨는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종일반에 보내고 있는데, 이렇게 집단으로 휴업을 선언해버리면 일하는 엄마들은 어떡하라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학부모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동대문구의 한 키즈카페에서 6살 손자를 돌봐주던 신모(63)씨, 박모(67)씨 부부는 “애 엄마, 아빠가 모두 직장에 다니기 때문에 방학이나 휴일에는 우리가 이렇게 봐줄 수밖에 없다”며 “우리나라에선 사실상 맞벌이가 필수인데 유치원 문을 열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유치원의 이기주의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6살 딸을 키우고 있는 강모(39)씨는 “아이들을 볼모로 잡고 협상을 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며 “우리 부부는 비교적 퇴근 시간이 일정해 사정이 조금은 나은데도 맞벌이를 계속할 수 있을지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이런 소식까지 전해지니 화가 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정부가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주문도 있었다.

5세 아들을 둔 맞벌이 아빠 전모(35)씨는 “예정에 없던 휴가를 갑자기 내고 아이 봐줄 사람도 급하게 찾아야 해서 너무 혼란스럽다”면서 “이번 기회에 적폐를 청산해 앞으로는 더이상 학부모들이 이런 고통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치원단체가‘배수진’을 쓸 수밖에 없도록 코너로 몰아세운 정부와 여당을 비판하는 의견도 일부 있었다.

6살 외아들을 키우면서 직장에 다니는 김모(39)씨는 “유치원단체가 강도 높게 반발하는데도 정부와 여당이 ‘합의는 없다’는 식으로 에듀파인 도입을 밀어붙인 것은 문제”라고 비판했다.

김씨는 “(집단 휴원은) 너무나도 뻔한 사태였는데도 대책은 세우지 않고 밀어붙이기만 했다”며 “유치원 못 가는 애들과 유치원 문 닫을 때 대비한 대책 세워야 하는 학부모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한유총은 ‘유치원3법’(유아교육법·사립학교법·학교급식법 개정안) 철회, 사립유치원 사유재산 인정, 유치원 예산에서 시설사용료 비용처리 인정, 사립유치원 원아 무상교육과 교사 처우개선, 누리과정 폐지 등을 요구하면서 다음 주로 예정된 유치원 개학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사실상의 ‘집단 휴원’으로 전국에서 유치원 2천곳 안팎이 개학을 연기할 것으로 보여 ‘보육대란’이 우려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