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하오리다” 조소앙 선생의 생생한 육성

“광복하오리다” 조소앙 선생의 생생한 육성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입력 2019-02-27 23:22
업데이트 2019-02-28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46년 3·1절 기념사 디지털 복원…해방 기쁨·미군정 안타까움 드러나

이미지 확대
조소앙(1887~1958) 선생
조소앙(1887~1958) 선생
“우리 조국을 광복하오리다. 만일 그렇지 못하게 되면 나의 몸을 불에 태워 죽여주시오.”

해방 후 처음 거행된 1946년 3·1절 기념식에서 완전한 자주독립의 꿈을 목놓아 설파했던 파주 출생 조소앙(1887~1958) 선생의 육성이 디지털 복원돼 27일 후손에 의해 공개됐다.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조소앙 선생 손자인 조인래(57) 조소앙선생기념사업회 위원장이 보관해오던 LP를 작사가 김순곤씨 도움으로 복원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의 생생한 육성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소앙은 정치·경제·교육의 균형을 통해 개인·민족·국가 간 평등을 이루는 삼균주의(三均主義)를 창시하고, 이를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 제정 당시 국가 이념으로 삼았다.

조소앙은 1946년 3월 1일 서울운동장(동대문운동장)에서 열린 제27회 3·1절 기념식에서 해방의 기쁨에도 미군정 체제하에서 가질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마음을 가감없이 드러냈다. 이 기념식 이후로 3·1절은 국가 경축일로 지정됐다.

조소앙은 기념사에서 “나 조소앙은 여러분께 맹세합니다. 우리나라를 독립국으로 하오리다. 우리 동포로 하여금 자유민이 되게 하오리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임시정부 외무부장을 맡았던 조소앙은 “모스코에서 상해에서 남경·파리·사천·광동·광서에서 삼일절을 맞을 때마다 결심하기를 명년(내년)에는 한성에서 이날을 맞이하자 하였다”며 “지금은 소원 성취는 하였다마는, 꿈인지 생시인지 모르겠다”고 오랜 시간 동안의 어려움을 밝히기도 했다.

이 LP는 당시 행사를 준비했던 경성방송국에서 증정품으로 제작한 것이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9-02-28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