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땀복!’…폭염 속 대여 한복 직접 입어 보니

‘한복? 땀복!’…폭염 속 대여 한복 직접 입어 보니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8-07-25 23:06
업데이트 2018-07-26 0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입고 있던 바지 위에 두겹 치마·속치마
바람 안 통해 땀 줄줄… 여름 소재 없어
이미지 확대
‘폭염 15일째’인 25일 오후 서울신문 김정화 기자가 서울 종로구의 한 한복 대여점에서 빌린 한복을 입고 경복궁 안을 걷고 있다.
‘폭염 15일째’인 25일 오후 서울신문 김정화 기자가 서울 종로구의 한 한복 대여점에서 빌린 한복을 입고 경복궁 안을 걷고 있다.
연일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진 25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 일대는 한복을 입은 외국인 관광객들로 북적댔다. 경복궁 개장 시간인 오전 9시부터 1시간 동안 눈에 띈 ‘한복 착용 관광객’은 50명도 더 돼 보였다. 이들은 부채나 휴대용 선풍기, 양산을 들고 더위를 쫓았지만 흘러내리는 땀은 막지 못했다. 한복 바지에 땀이 차 불편한지 엉거주춤 걷는 남성 관광객도 많았다.

일본인 히토미(40·여)는 한복을 입은 이유에 대해 “한국 전통 복장을 입고 추억을 남기고 싶어서”라고 했다. 홍콩에서 온 카리(14·여)는 “한국 고유의 전통을 꼭 체험해 보고 싶었다”며 한복 입은 자태를 뽐냈다. 한복의 재질이 까끌까끌한 탓에 입으면 시원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관광객들이 많았다. 하지만 한복을 입고선 대부분 “너무 덥다”고 호소했다. 대만 관광객 쉐린(18·여)은 “대만이 워낙 더운 지역이다 보니 한국은 덜 더울 것으로 생각했는데 한복을 입으니 마치 대만에 와 있는 것같이 덥다”고 말했다.

관광지에서 대여하는 한복을 입었을 때 얼마나 더운지 확인하고자 서울신문 김정화 기자가 직접 한복을 빌려 착용해 봤다. 치마는 두 겹으로 돼 있었고 속치마까지 있어 일반 여름 치마나 바지와 비교하면 훨씬 두꺼웠다. 반투명한 소매의 저고리가 시각적으로는 시원해 보였지만, 폴리에스터와 나일론이 섞인 재질이다 보니 바람이 거의 통하지 않았다. 저고리는 가슴 부분과 어깨, 팔 쪽은 몸에 착 붙는 ‘슬림핏’이어서 조여 오는 느낌이 들었다. 한복을 입고 1시간 정도 경복궁을 관람하자 온몸이 땀으로 범벅됐다. 인형탈에 비교할 순 없지만 한복도 ‘땀복’ 못지않았다.

시원한 소재인 모시로 제작된 한복은 찾아볼 수 없었다. 원단 가격과 세탁비가 비싸다는 이유였다. 서울 종로구청에 따르면 경복궁과 창덕궁 일대에는 70여 곳의 한복 대여 매장이 성업 중이다. 이처럼 매장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경쟁 탓에 대여료가 30분에 4000~5000원으로 떨어졌다. 상인들은 이익을 내기 위해 값싼 재질의 한복을 들여놓을 수밖에 없다.

경복궁 인근의 A매장 주인은 “기존 폴리에스터 소재는 물빨래를 하면 되지만 모시 소재는 세탁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날씨가 더워도 반소매 저고리를 찾는 관광객은 드물었다. 이유는 바로 기념사진 때문이었다. B매장 주인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복을 입는 첫 번째 이유가 기념사진을 찍기 위해서인데 한복을 반소매로 입으면 예쁘지 않다고 생각해 여름에도 긴팔 저고리만 찾는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18-07-26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