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싱 전설’ 알리, 종교적 이유로 베트남전 징집 거부

‘복싱 전설’ 알리, 종교적 이유로 베트남전 징집 거부

이근아 기자
입력 2018-06-28 22:18
업데이트 2018-06-29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심적 병역거부 유명인 누구

알리 영향 받은 킹 목사 반전 운동
집총 거부 도스는 의무병과 지원


양심적 병역거부에 따른 대체복무를 규정하지 않은 현행 병역법은 헌법에 어긋난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28일 나오면서 과거의 대표적인 ‘양심적 병역거부’ 운동가들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복싱 전설’ 무하마드 알리는 미국에서 양심적 병역 거부를 선언한 첫 번째 공인이다. 무슬림인 알리는 1967년 6월 종교적 이유로 베트남전쟁 징집 영장을 거부했다.

당시 알리는 병역거부로 기소돼 징역 5년에 벌금 1만 달러를 선고받았다. 나아가 세계챔피언 타이틀과 함께 프로 권투 선수 자격을 박탈당했다. 또한 베트남전 반대운동에 앞장섰다는 이유로 미국 국가안보국의 도청에 시달려야 했다.

알리는 1971년 연방 대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기 전까지 3년간 링에 오르지 못했다. 그사이 미국 전역을 돌면서 흑인 인권 운동 연설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러한 알리의 양심적 병역거부 선언은 흑인 인종차별 철폐 운동을 이끈 마틴 루서 킹 목사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킹 목사는 젊은이들이 양심에 따라 반전의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의무병으로 전장을 누빈 데즈먼드 도스는 미국 최초의 양심적 집총 거부자로 유명하다. 포화에 휘말린 조국을 지키기 위해 군에 자진입대하고도 종교적 신념 때문에 총을 잡는 것을 거부하고 의무병과에 자원한다. 결국 총 없이 의무병으로 태평양 전선에 참전한 도스는 1945년 5월 오키나와 전투에서 부상당한 동료 75명의 목숨을 구해내는 공을 세웠으며, 전쟁이 끝난 뒤 미군 최고 영예인 명예훈장을 받았다. 비무장 전투원으로는 최초였다.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2018-06-29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