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소시지 숯불로 조리하면 발암성 물질 크게 증가

햄·소시지 숯불로 조리하면 발암성 물질 크게 증가

입력 2017-01-03 10:28
수정 2017-01-03 1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제대 박흥재 교수팀, 숯불·프라이팬 구이 때 PAH 함량 분석

햄이나 소시지 등 육가공식품을 숯불 등 직화로 조리하면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PAH(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가 가열하기 전 원제품보다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대 환경공학과 박흥재 교수팀은 숯불구이, 프라이팬 구이 등 조리법을 다르게 해 햄·소시지·스팸·베이컨 등 육가공식품 13종의 PAH 함량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3일 밝혔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은 최근 이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PAH는 육류 등을 고온 조리할 때 생성되는 것으로 발암성 물질이자 환경호르몬 의심물질로 알려져 있다.

박 교수팀은 조리하지 않은 13개 종류 육가공식품에서 검출한 PAH와 프라이팬을 사용하거나 직접 숯불에 굽는 방법(직화)으로 가열조리한 육가공식품에서 나온 PAH를 비교했다.

가열 조리는 13개 육가공식품 중 5건씩을 임의로 골라 진행했다.

가열 조리전 육가공식품 13건 가운데 5건에서 PAH가 g당 0.6~7.2ng(나노그램)이 검출됐다.

불꽃이 직접 닿는 숯불구이 방식으로 조리한 육가공식품은 검사한 5건 모두에서 PAH가 g당 12.7∼367.8 ng이나 검출돼 가열 조리전보다 크게 증가했다.

고기나 육가공식품에 불꽃이 닿아 타면 발암성 물질이 생긴다는 점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프라이팬으로 가열 조리한 육가공식품은 5건중 4건에서 g당 12.3~22.1ng이 검출됐다.

연구팀은 “PAH는 식품으로 대부분 인체에 유입된다”며 “원재료뿐만 아니라 식품 조리 과정에서 PAH가 생기는 만큼 육류, 육가공식품 조리 때 직화를 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