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인들 “70은 넘어야 노인이지”…여가활동 절반은 TV시청

서울 노인들 “70은 넘어야 노인이지”…여가활동 절반은 TV시청

입력 2016-12-21 09:29
업데이트 2016-12-21 09: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인 운전자 3분의 1 “시력 저하 등으로 운전 어려워”…고령 운전자 관리 필요

서울시 만 65세 이상 노인 대다수는 71세부터 노인으로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은하 서울시복지재단 연구위원은 21일 ‘2016년 노인실태조사: 서울시 노인복지 이슈 중심’ 연구 보고서에서 이와같이 밝혔다.

정 위원은 8월29일∼10월23일 서울시 전역 만 65세 이상 노인 3천58명을 대상으로 대면면접조사했다.

노인 기준 연령이 70∼75세라는 답이 62.1%에 달했고 75∼79세 15.5%, 60∼69세 14.9%였다. 80세 이상도 7.5% 나왔다.

정 위원은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연령 기준도 높게 답했다”고 말했다.

본인의 고독사 가능성이 높다는 답변은 응답자 중 20%에 달했다.

만성질환 개수는 1인 당 1.7개이며, 만성질환은 고혈압(52.6%), 당뇨병(24.0%) 등 순이다.

19.3%는 질환이 없지만 10.0%는 질환이 4개 이상이다.

소득이 낮고 학력이 낮으면 질환도 많아졌다. 4개 이상 질환 보유 비율이 월 평균 가구 소득 100만원 미만은 16.5%, 무학은 19.7%로 올라갔다.

하루 여가 활동이 7.2시간인데 이 중 TV시청이 3.8시간으로 절반을 넘는다.

주변 사람들 중 도움이나 의지가 되는 정도는 배우자→자녀→부모 순서로 점수가 높았다.

응답자 16.2%가 현재 운전을 하고 있으며, 운전자 3분의 1은 시력저하와 반응 속도 저하 등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고령운전자 신체·인지검사 강화 등 관리·지원 필요성에 응답자 47.7%가 긍정적 답변을 했다.

대중교통이나 상업시설 이용 시 등에 나이로 인한 차별을 경험했다는 답은 12.3%였다.

장례 방법으로 60%가 화장을 원했고 생명연장 의료행위는 불필요하다는 답이 48.5%였다.

노후생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3점이었다.

이번 연구조사 대상은 여성이 55.9%이고 만 65∼69세가 35.5%, 70대가 46.0%, 80세 이상이 18.5%이다.

학력은 무학이 16.1%, 초졸 26.6%, 중졸 22.5%, 고졸 25.7%, 대졸 9.1%이다.

독거 노인이 25.2%였다.

1년간 가구 월 평균 소득은 200만원 미만이 60.4%에 달했고 월 평균 가구 소비는 200만원 미만이 절반 이상이다.

정 위원은 “연령대별로, 지역별로 생활 특성이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며 “독거·저학력·저소득은 모든 상황에서 취약해 지원정책이 강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서울시복지재단이 서울시 복지정책 개발 등을 위해 한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22일 성과보고회에서 발표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