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촛불집회] 눈 오는 추운 날씨, 100만 촛불은 더 뜨거웠다

[5차 촛불집회] 눈 오는 추운 날씨, 100만 촛불은 더 뜨거웠다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6-11-26 19:36
업데이트 2016-11-26 2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6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제5차 촛불집회에서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는 100만 시민들의 촛불 물결이 성난 민심처럼 거세게 일렁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6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제5차 촛불집회에서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는 100만 시민들의 촛불 물결이 성난 민심처럼 거세게 일렁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5차 촛불집회가 26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 일대와 전국 주요도시에서 개최됐다. 오전부터 굵은 눈발이 날리다 그친 광화문 광장에는 오후 7시 현재 100만명(주최측 추산, 경찰 추산은 26만명)의 많은 인파가 몰려 박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촉구했다. 이날은 서울에 올해 첫눈이 내렸고 낮 최고기온도 영상 3도에 불과했다.

시민들은 두꺼운 패딩 등 방한복을 입었고, 목도리를 착용했다. 여성들은 어그 부츠를, 남성들은 등산화를 신은 경우가 많았다. 추위 속에서도 시민들은 장갑을 낀 손으로 양초 촛불이나 LED 촛불을 들었다. 몇몇 시민은 첫 눈을 ‘하야 눈’이라고 표현했다.

김모(51)씨는 “춥다. 하지만 추워도 나오고 싶었다”며 “춥다고 촛불이 줄어드는 것을 궁궐에 숨어 바랄텐데 추워도 더 크게 퇴진을 외치겠다고”고 말했다. 그는 “백성을 추위에 떨게 내몰고 따뜻한 곳에 앉아 있는 것은 대통령의 자세가 아니다”고 했다.

최종완(67)씨는 “갑자기 추워져서 걱정했는데 다행히 저녁 때는 눈이 그쳤다”며 “이 정도 추위쯤 아무렇지도 않고 박 대통령만 퇴진하면 바랄 게 없다”고 전했다. 조미희(44·여)씨는 “오후 2시쯤 도착해서 눈도 다 맞고 있었지만 몸보다 마음이 더 춥다”며 “박 대통령을 구속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26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제5차 촛불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이 어묵 등 포장마차의 따뜻한 음식으로 몸을 녹이며 박근헤 대통령 퇴진을 위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6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제5차 촛불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이 어묵 등 포장마차의 따뜻한 음식으로 몸을 녹이며 박근헤 대통령 퇴진을 위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비옷과 방석, 핫팩 등을 파는 상인들도 늘었다. 비옷은 장당 2000원, 방석은 1000원이었다. 집회 현장 인근 편의점은 핫팩과 뜨거운 캔 커피를 구매하려는 시민들로 북적였다. 밤에야 장사를 시작했던 어묵 등 트럭 분식도 대낮부터 나왔다. 입김이 보일 정도로 추워진 저녁 참가자들은 어묵 국물 등을 먹으며 몸을 데웠다.

한편, 오후 3시 30분 쯤 새마을금고 광화문 본점 근처에서 한 상인이 따뜻한 물을 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는 “여기까지 오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따뜻한 물 드시고 가세요. 제 걱정은 마세요. 제가 할 수 있은 방법으로 촛불시위에 동참하려고 마음 먹었습니다”라고 말했다. 화장실을 열어두었다며 시민들에게 알리는 상인들도 있었다.

[서울포토] ‘여기까지 오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서울포토] ‘여기까지 오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법원이 청와대 200m 거리인 청운효자동 주민센터까지 행진을 허락한 가운데 26일 새마을금고 광화문본점 인근 커피숍에서 촛불집회 참가자들에게 물을 나눠주고 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물을 마신 황교선(31·여)씨는 “가게 주인, 시위대 할 거 없이 한 마음으로 박 대통령이 물러나길 바라고 있다”며 “날이 추운데 이 물 한 잔에 몸도 마음도 따뜻해졌다”고 전했다.

전날 법원은 청와대 200m 거리의 집회를 처음으로 허용하면서 집회는 오후 5시, 행진은 오후 5시 30분까지로 제한했다. 이는 예상 일몰시간(오후 5시 15분)을 고려한 처분이다. 이에 따라 오후 6시 경찰은 경복궁 앞 율곡로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시민들이 들어서지 못하게 차벽을 설치했다. 하지만 100여명의 시민들이 해산을 거부하며 갈등을 빚기도 했다.

26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제5차 촛불시위에 “바람이 불면 촛불이 꺼진다”는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에 ‘반격’하듯 LED촛불이 등장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6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제5차 촛불시위에 “바람이 불면 촛불이 꺼진다”는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에 ‘반격’하듯 LED촛불이 등장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강신 기자 xin@seoul.co.kr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