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고병원성 AI 확진…충북 진천서도 양성반응

포천 고병원성 AI 확진…충북 진천서도 양성반응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입력 2016-11-24 23:10
업데이트 2016-11-25 02: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업 타격 ‘이동중지’ 일단 보류

지난 22일 경기 포천시 영북면 한 산란계 농가에서 집단 폐사한 닭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충북 음성군에 이어 두 번째로 오리농장이 많은 진천군에서도 24일 AI가 발생했다. 고병원성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정부는 가금류에 대한 일시 이동중지(stand still) 명령 발동도 검토했으나 가금류 산업의 피해 등을 고려해 일단 보류했다.

24일 충북도에 따르면 전날 오후 1시쯤 진천군 이월면의 한 종오리 사육농가에서 오리 70여 마리가 폐사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1차 검사 결과 AI 양성반응이 나와 이 농가에서 키우는 오리 4500마리를 모두 살처분했다. 방역 당국은 이 농가에서 알을 맡긴 진천군 문백면 위탁부화장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새끼오리를 분양받은 농장을 상대로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해당 농가 주변에 방역초소를 설치하고, 인근 지역 가금류 농가에 대해 이동제한 조치도 내렸다. 충북도는 이 농가로부터 반경 700m 안쪽의 3개 농가 오리 2만 9000마리를 살처분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 농가들까지 살처분 조치되면 지난 17일 음성군 맹동면에서 도내 첫 AI가 확진된 이후 살처분되는 닭과 오리는 총 57만여 마리로 늘어난다.

충북도 관계자는 “진천군 이월면 발생 농장은 최초 발생 농장과 7.7㎞ 떨어진 곳으로 두 농장 간에 역학 관계는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충북에서 이날까지 고병원성으로 확인된 농가는 음성 9곳, 청주 1곳 등 총 10곳이다. 정밀검사가 진행 중인 곳은 4개 농가다.

경기도 관계자는 “포천에서 발생한 닭의 집단 폐사 원인은 고병원성 AI로 확인됐으나 양주시 백석읍 산란계 농가에서 확진된 고병원성 AI(H5N6)와 같은지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AI 발생 농가 반경 10㎞ 이내 102개 농가를 대상으로 긴급 예찰 활동에 들어갔으나 추가 감염이 의심되는 농가는 현재까지 신고되지 않았다. 이로써 이날 현재 경기 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 확진 농가는 포천과 양주 각 1곳씩 모두 2개 농장뿐이다.

경기도는 양주 백석읍 농가에서 사육하던 산란계 1만 3392마리를 살처분해 매립한 데 이어 포천 산란계 농가에서 사육해 온 24만 마리도 25일까지 살처분해 매립할 계획이다. 또 신고 지역을 중심으로 총 4개 길목에 소독시설을 갖춘 이동통제초소를 설치했다.

정부는 고병원성 AI가 확산 추세를 보이자 25일까지 전국의 모든 가금 관련 시설과 차량에 대한 소독을 하기로 했다.

포천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11-25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