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블로그] 수능 앞 ‘촛불’… 격려도 만류도 못하는 엄마들

[현장 블로그] 수능 앞 ‘촛불’… 격려도 만류도 못하는 엄마들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6-11-10 22:20
업데이트 2016-11-11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들이 고3인데 광화문광장에서 열리는 촛불집회에 가고 싶다는 거예요. 고2였으면 당장 갔을 텐데 다음주가 수능시험이라 망설여진다고 심란해했죠. 결국 가족끼리 상의해서 아빠가 대표로 참석하는 걸로 아이 마음을 달랬어요. 아들 마음은 알겠는데 수능에 영향이 있을까 걱정되고, 엄마인 저도 무기력하고 우울하네요.”

10일 취재 중에 만난 박모(49)씨의 말입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수험생을 둔 부모는 애간장이 탑니다.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씨의 국정농단 사태 탓에 아이들이 흔들릴까 두렵다는 겁니다. 12일 대규모 집회를 두고는 집회에 나갔다가 컨디션 조절에 실패할까 봐, 못 나가게 하면 반항심에 수능시험을 망칠까 봐 우려하기도 합니다. 부모 마음이야 수능이 먼저인데, 아이들의 눈과 귀를 가리자니 너무 엄청난 사건이 벌어진 거죠.

이모(51)씨도 최근 아들이 “공부한다고 집에만 있으면 안 되는 거 아니냐”고 혼란스러워해 걱정이 많다고 합니다. 이씨는 “괜히 강하게 억누르면 외려 아이에게 상처가 될까 봐 눈치를 보며 달래고 있다”고 했습니다. 장모(47·여)씨는 “나름 사회문제에 관심을 두고 살아왔는데, 정작 내 아이가 촛불집회에 나간다니 감기라도 걸리거나 다칠까 봐 걱정부터 된다”며 괴롭다고 합니다.

재수생 딸과 고3 아들을 둔 김모(49)씨는 “이기적인 마음에 촛불집회에 나가겠다는 아이들을 말렸다. 내 아이들이 희생해 가며 나라를 바꾸기보다 차라리 이 나라를 떠날까 싶다”고 털어놨습니다.

자녀의 무기력을 걱정하는 엄마도 있었습니다. 김모(48)씨는 아이의 질문에 대답 못 한 일을 얘기합니다. “딸이 얼마 전에 ‘최순실 재산이 수천억원이라는데 평생 일해도 나는 그 돈 못 모으지 않아?’라고 물었어요. 조언을 해 줘야 하는데, 워낙 말도 안 되는 일이라서 설명할 방법을 못 찾았어요.”

“딸이 정유라(최씨의 딸) 기사를 보고는 ‘엄마, 나를 그런 괴물로 키우지 않아 줘서 고마워’라고 말하는데 심장이 덜컥 내려앉았어요. 이 나라의 엘리트라는 정치인들, 기업가들이 눈앞의 이익에 급급해하며 꼭두각시처럼 놀아나는 동안 이 아이들은 올바로 성장해서 고맙더라고요.” 신모(48)씨의 말입니다.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라는 해묵은 말이 생각납니다. 고맙게도 어린 세대들은 ‘나쁜 어른’을 보면서도 올곧은 마음을 키우고 있었습니다. 한 줄기 희망이 남아 있던 겁니다. 어른들이 잘못 설계한 세상을 ‘노력’이 가장 존중받는 곳으로 바꿔 주길 기대해 봅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6-11-11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