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세 수사’ 논란 속 팔짱 낀 우병우…진땀 흘린 檢

‘저자세 수사’ 논란 속 팔짱 낀 우병우…진땀 흘린 檢

입력 2016-11-07 10:40
업데이트 2016-11-07 17: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늑장 소환’에 ‘봐주기 의혹·수사 강도 논란’도 겹쳐

횡령·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소환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청사 안에서 웃는 얼굴로 팔짱을 낀 채 서 있는 사진이 7일 언론에 공개되자 검찰이 거센 비판에 직면했다.

이런 모습은 검찰 출석 당시 우 전 수석이 보여준 고압적 태도와 겹쳐 여론을 더욱 들끓게 하는 모양새다.

우 전 수석은 전날 취재진 앞에서 혐의를 인정하느냐는 질문을 받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며 한동안 기자들을 쏘아 봤다.

그가 본격적으로 조사를 받기 전 수사팀장실에서 차를 대접받았다는 이야기까지 더해져 여론의 질책을 받자 검찰은 해명하는 데 진땀을 흘렸다.

검찰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조사가 진행되다 잠시 쉬었다 하자고 해서 부장검사가 팀장에게 보고하러 간 사이 대화하는 모습같다”면서 “조사하지 않는 상황의 사진으로 수사 분위기가 단정되고 비난받아 답답한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우 전 수석이 조사 전 팀장과 차를 마신 것이 ‘과도한 의전’ 아니냐는 지적에는 “기밀 유출 의혹을 받는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도 조사 전 차를 대접받았다”며 “차관급을 지낸 사람들과 차를 마시는 건 이례적이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검찰의 해명이 궁색한 게 아니냐는 평가를 한다.

소환 시점도 상대적으로 너무 늦어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피고발인 신분인 우 전 수석을 향한 수사가 사실관계 규명을 바라는 기대와 달리 무딘 것 아니냐는 비판 여론은 소환 이전부터 많이 제기됐다.

우 전 수석의 횡령·직권남용 혐의를 비롯해 처가의 강남역 부동산 거래 의혹, 의경 복무 중이 아들의 보직 특혜 의혹 등을 수사하는 특별수사팀은 이미 꾸려진 지 70일이 넘었다.

특별수사팀이 활동을 시작하고 무려 두 달이 지나서야 의혹의 당사자를 불러들인 검찰이 ‘늑장 소환’이라는 곱지 않은 시선을 받는 이유다.

이를 두고 우 전 수석과 인연이 있는 소위 ‘우병우 라인’이 사정라인을 틀어쥐고 있어서 그런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돌았다. 현직에 있을 때 우 전 수석을 소환하는 데 부담을 느낀 검찰이 소환을 차일피일 미룬다는 해석도 나왔다.

8월 말 우 전 수석의 가족회사인 ‘정강’과 서울지방경찰청을 압수수색할 때 우 전 수석의 자택은 압수수색 대상에서 빠졌고, 우 전 수석의 휴대전화 압수도 이뤄지지 않은 것 등을 놓고도 비판이 제기됐다.

검찰은 법과 원칙에 따른 신속하고 공정한 수사와 독립성이 보장된 수사를 위해 특별수사팀을 꾸리고 철저한 수사를 강조해 왔지만, 여론의 반응은 차갑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우 전 수석이 늑장 소환된 것도 모자라 ‘황제 조사’를 받고 나왔다”며 “검찰이 불구속 기소나 약식 기소로 수사를 마무리하려 하면 국민의 저항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