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실에 총탄 흔적…총격전 현장엔 핏자국 낭자

미용실에 총탄 흔적…총격전 현장엔 핏자국 낭자

입력 2016-10-19 23:17
업데이트 2016-10-19 2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부대까지 출동해 현장 감식 벌여

19일 폭행 용의자가 현장 조사를 벌이던 경찰관에게 사제총기를 발사해 김모(54) 경위가 숨진 서울 강북구 번동 사건 현장에는 불과 몇 시간 전 벌어진 범죄 현장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범인 성모(45)씨가 둔기로 또 다른 피해자인 이모(67)씨의 머리를 가격한 곳은 강북경찰서에서 오패산 터널 쪽으로 40∼50m 가량 떨어진 부동산 업소 앞이다.

현장에는 이씨의 것으로 보이는 혈흔이 둥근 형태로 흩뿌려져 있었다.

용의자가 이동하면서 가격한 듯 혈흔은 골목 쪽에서 대로변으로 이어졌다.

이 현장에서 다시 30m 정도 떨어진 한 미용실 통유리 창문에는 범인이 총을 쐈을 때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탄환의 흔적이 세 군데 남아 있었다.

인근 상가의 상인들과 주민들 다수는 사건 현장으로 나와서 서로가 보고 들은 내용들을 전하며 대화를 나눴다. 일부 주민은 경찰이 사망했다는 소식에 안타까워 하기도 했다.

인근 한 식당의 사장은 “얼굴을 알고 지내던 이씨가 피해자여서 여기 사람들 모두 놀라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상가의 상인 중에는 피를 흘리고 쓰러졌던 피해자가 자신들이 평소 오가며 인사하던 사람이 맞는지 몇 번을 되물으며 사건 현장을 떠난 채 말을 잇지 못하는 사람도 있었다.

김 경위가 숨진 현장인 오패산 터널 앞은 현장 감식 등에 나선 경찰 과학수사팀이 폴리스라인을 설치한 채 삼엄한 경비 속에 혈흔 등을 찾느라 긴장된 분위기가 흘렀다.

총격전이 벌어진 탓에 군부대 요원까지 현장에 출동해 현장 상황을 통제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사건이 알려진 뒤 사건 현장과 가까운 강북경찰서에는 취재진이 몰려들어 시종 긴박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강북경찰서와 용의자가 이씨를 가격한 현장, 김 경위가 숨진 현장은 모두 반경 100m 안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때문에 경찰과 목격자, 취재진이 왕복 2차로 도로로 몰리며 교통 혼잡이 빚어지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