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나의 ‘빽’… 친구로 시작해 범죄로 끝난다

너는 나의 ‘빽’… 친구로 시작해 범죄로 끝난다

입력 2016-09-18 22:44
업데이트 2016-09-19 09: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패 범죄 새 유형 ‘친구 범죄’

진경준·김정주 고교 때부터 안면
‘스폰서 검사’ 사건도 고교 동창


최근 이른바 ‘친구 범죄’가 부패 범죄의 한 유형으로 떠오르고 있다. 진경준(49·사법시험 30회) 전 검사장, 김형준(46·사시 35회) 부장검사, 강만수(71·5급 공무원시험 8회) 전 산업은행장 등 20대 초중반 고등고시에 합격해 잘나가던 전현직 공직자들이 사업가 친구와의 부패 범죄로 검찰 수사 대상이 된 것이다.

겉모습은 ‘친구 간의 우정’으로 포장됐지만 한 꺼풀 벗겨 보면 잇속이 매개가 된 전형적인 ‘부당 거래’라는 게 법조계의 중론이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진 전 검사장과 김정주(48) NXC 회장은 1980년대 중반 서울 마포구의 인접 학교인 환일고와 광성고 재학 시절부터 친구 관계였다. 이들은 나란히 서울대에 86학번으로 입학했다. 진 전 검사장은 최근까지도 사석에서 김 회장에 대해 ‘절친한 사이’라고 언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둘 사이가 급속도로 가까워진 건 진 전 검사장의 검사 임용 이후인 1990년대 중후반이라는 것이 주변의 설명이다. 각각 잘나가는 검사이자 기업인으로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는 관계였다는 뜻이다. 검찰 관계자는 “진 전 검사장이 검사가 아니라도 김 회장이 9억여원의 주식과 차량, 여행 경비 등을 제공했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실제로 검찰 수사 이후 진 전 검사장의 지위가 추락하자 이들의 관계는 금방 냉랭해졌다. 급기야 김 회장 측은 최근 진행되고 있는 재판 과정에서 “친구에게 베푼 호의와 배려가 뇌물로 매도됐다”는 진 전 검사장 측 주장에 대해 “뇌물을 준 게 맞다”고 반박했다.

대검찰청 감찰을 거쳐 최근 피의자 신분이 된 김 부장검사 역시 ‘스폰서’ 김모씨와 서울 배문고 동창 사이다. 학창 시절엔 서로 집을 오가던 친한 친구였다. 그러나 두 사람은 고교 졸업 뒤 오랫동안 연락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장검사는 검사로, 김씨는 사업가로 ‘성공’한 뒤 급속히 가까워졌다. 김 부장검사에겐 언제든 급전을 제공해 주는 ‘돈줄’이, 김씨에겐 여차하면 보험으로 쓸 ‘사법 권력’이 필요해 서로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김씨는 평소에도 “형준이가 검사장과 국회의원 배지를 달면 우리의 ‘빽’이 돼 줄 것”이라고 주변에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부장검사는 사건이 불거진 뒤 “김씨에게 사기 전과 전력이 있다는 사실조차 몰랐다”고 해명했다. 진 전 검사장과 마찬가지로 자신이 김씨를 단순히 친구로 여겼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강 전 행장은 한성기업 임우근(68) 회장과 부산 경남고 같은 반 친구 사이다. 나이는 세 살 차이지만 강 전 행장이 고교 시절 휴학을 하고, 임 회장은 학교에 빨리 들어왔다. 둘의 친분 관계는 경제부처 공무원들 사이에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 한성기업은 강 전 행장이 산은 재직 시절에 한성기업에 부당 대출을 지시한 혐의로 압수수색을 당했다. 강 전 행장은 19일 소환될 예정이다.

한 특수 검사는 “세 사건 모두 친구 관계로 포장됐지만 돈으로 관계와 배경을 샀다는 점에서 다른 부패 범죄와 다를 게 없다”며 “잇속에 따른 만남은 쉽게 변질하고 깨진다는 걸 보여 주는 전형”이라고 밝혔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6-09-19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