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기증 ‘거부 등록제’로 바꾸자”

“장기기증 ‘거부 등록제’로 바꾸자”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16-09-07 17:00
업데이트 2016-09-07 1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배우 김성민 뇌사 판정 장기기증
배우 김성민 뇌사 판정 장기기증
본인이 직접 기증의사를 밝혀야 하는 현행 장기기증 희망등록제도를 본인이 장기기증을 거부할 경우에만 등록하도록 하는 ‘장기기증 거부 등록제’로 바꾸자는 주장이 나왔다.

장기기증 거부 등록제를 도입하면 자신이 직접 장기기증을 하지 않겠다고 등록하지 않은 이상 가족에게 연락하지 않고도 곧바로 장기를 기증해 다른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게 된다.

한국장기기증학회는 9일 ‘장기기증의 날’을 맞아 7일 오후 부산시청에서 2016 생명나눔실천 활성화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강치영 한국장기기증협회장은 장기기증 희망자 등록체제를 장기기증 거부의사 표시 등록체제로 과감하게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기증자의 예우와 함께 기념공원을 조성해 숭고한 생명나눔을 실천한 기증자와 유족들에게 보람과 긍지를 심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본부장은 “예기치 않은 뇌사 기증자의 고귀한 사랑을 기념하고, 시한부 삶을 살면서 장기이식의 끈을 부여잡고 투병하는 말기환자들을 위해 장기기증 등록제를 개선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포지엄에서는 또 25년 전 부산 최초로 뇌사판정을 받은 기증자의 장기이식을 집도한 윤진한(비뇨기과 교수) 대동대 총장이 기조연설을 했다.

윤 총장은 만 20세 이상 성인은 본인 의사만으로 장기기증 희망등록을 할 수 있지만 ,미성년자는 보호자의 서면동의를 받아야 하는 현행 장기기증 희망등록제도를 바꿔 미성년자 기증을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윤 총장은 “기증자 유족이 자긍심을 갖고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도록 장례지원 서비스는 물론 유족의 정서적 지지 상담이나 추모행사 등 기증자 가족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장기기증이 더욱 활발히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