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재난문자 왜 나만 안 오는 거죠?

긴급재난문자 왜 나만 안 오는 거죠?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6-07-06 01:24
업데이트 2016-07-06 0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3년 이전 만든 3·4G 단말기 ‘메시지 동시전달’ 기능 탑재 안돼

5일 오전 9시 7분 서울 여의도의 한 기업체 사무실. 대부분 직원의 휴대전화에서 동시에 긴급재난문자 경보음이 울렸다. 이날 서울에 호우경보가 내려졌으니 위험지역을 피하고 외출을 자제하라는 내용의 문자였다. 하지만 정모(34)씨의 전화기는 묵묵부답이었다. 정씨 외에도 몇몇 직원은 이 문자를 받지 못했다.

재난문자란 각종 재난이나 재해가 발생했을 때 정부가 이동통신사를 통해 휴대전화로 보내는 경고 메시지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1050여건이 발송됐다. 올해부터는 위급성에 따라 ‘안전안내→긴급재난→위급재난’의 3단계로 구분해 보내고 있다.

재난문자는 일반 문자메시지(SMS)가 아니라 ‘셀 방송서비스’(CBS)라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어떤 휴대전화에는 오고 어떤 휴대전화에는 오지 않는 차이가 발생한다. CBS란 전화번호나 거주 지역 정보가 없어도 특정 지역 내에 있는 이동전화 가입자에게 동시에 메시지를 보내는 서비스다. 미국 등에서도 긴급재난 상황에 사용한다.4세대(4G) LTE 단말기에 CBS 기능 탑재가 의무화된 것은 2013년부터다. 3G 단말기와 2013년 이전에 제조된 4G LTE 단말기에는 이 기능이 들어 있지 않다. 오히려 그보다 먼저 나온 2G 단말기에는 CBS 기능이 장착돼 있다.

2G 단말기에도 있는 기능이 왜 3G와 2013년 이전에 만들어진 4G LTE 단말기에는 없을까.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3G의 특성상 CBS 기능을 켜두면 배터리 소모량이 급격히 늘어나는 문제가 있어 당시 제조사들이 관련 기능을 뺀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3G 단말기 사용자는 1203만명으로 전체 가입자(5989만명)의 20% 수준이다.

3G 단말기 등 이용자들도 재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안전처의 ‘안전디딤돌’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아 전화기에 설치하고 ‘푸시 알림’을 설정하면 된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7-06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