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절벽’ 부모 소득 높으면 대기업 취업 확률 높다

‘계층절벽’ 부모 소득 높으면 대기업 취업 확률 높다

입력 2016-06-29 08:09
업데이트 2016-06-29 08: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정보원 “학비 지원 받고 자기계발 힘쓸 수 있어 취업 유리”

부모의 소득이 높은 대학생이 대기업 취업에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모로부터 학비 지원을 받은 학생들은 자기계발을 위한 경험을 쌓고 취업 준비에 집중할 수 있어 대기업 취업률이 더 높았다. 반면에 학비를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해야 했던 학생들은 취업 후 임금 수준이나 만족도 등이 모두 낮았다.

이는 29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내놓은 ‘재학 중 근로경험 유형에 따른 근로자 특성 및 노동시장 성과 차이’ 보고서에서 드러났다.

보고서는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있는 학생 2천695명을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1천313명)와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1천382명)로 나눴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부모나 친지에게서 학비를 조달받고 인턴, 실습 등 전공과 잘 맞는 근로를 한 학생을 말한다.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는 본인 스스로 혹은 학자금 융자로 학비를 조달해야 해 전공과 잘 맞지 않는 아르바이트 등을 한 학생이다.

두 집단은 부모 소득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났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부모의 월 소득이 ‘3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인 비율이 42.7%에 달했다. ‘500만원 이상∼1천만원 미만’은 25.4%, ‘1천만원 이상’은 4.4%에 이르렀다.

반면에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의 59.0%는 부모의 월 소득이 300만원에도 못 미쳤다.

중·상류층 자녀가 주를 이루는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졸업 후 종업원 500인 이상 대기업에 취업하는 비율이 17.8%였다. 하지만 서민층 자녀가 절반 이상인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는 대기업 취업 비율이 14.4%에 그쳐 그 격차가 3.4%포인트에 달했다.

종업원 500인 미만 기업에서는 두 집단의 취업 비율 차이가 거의 없어 그 격차가 1%포인트 안팎에 불과했다.

두 집단은 ▲ 시간당 임금 ▲ 일자리 만족도 ▲ 일자리 유지 여부 등 취업 후 근로 조건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의 시간당 임금은 1만 1천100원이었지만, 생계형 경험자는 9천700원에 그쳤다. 일자리 만족도도 각각 43.02점과 40.74점으로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취업 2년 후 일자리 유지 비율도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45.93%에 달했지만, 생계형 경험자는 40.67%에 그쳤다.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가 비정규직에 더 많이 취업했을 수 있다는 얘기다.

고용정보원 정한나 부연구위원은 “부모 소득과 재학 중 일자리 경험, 대기업 취업 확률 및 근로조건에서 뚜렷한 상관관계가 드러난다”며 “부모로부터 학비 지원을 받은 학생들은 자기계발을 위한 경험을 쌓고 취업 준비에 집중할 수 있어 아무래도 좋은 일자리를 얻기에 유리하다”고 분석했다.

정 부연구위원은 “대학 등 교육기관은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의 졸업 후 경쟁력이 뒤처지지 않도록 이들의 진로 지도와 취업률 제고에 더 힘쓸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