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살기 팍팍한 여성들

여전히 살기 팍팍한 여성들

최훈진 기자
입력 2016-06-19 22:00
업데이트 2016-06-19 2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활동·임금 남성의 절반… 시간제 비율은 두 배

WEF 보고서… 한국 성평등 지수 145개국 중 115위

이미지 확대
지난해 한국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 및 기회’가 남성의 56%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 참여 및 기회’는 경제활동 참여율, 유사 직종 임금수준, 생애추정소득(평생 벌어들일 것으로 기대되는 소득), 관리직 비율, 전문직 비율을 포괄한다. 우리나라 남녀의 경제적 격차는 44%로 터키(54%), 멕시코(46%)보다는 작지만 일본(33%)에 비해서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세계경제포럼(WEF)은 경제 부문 남녀의 경제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4년부터 한국, 터키, 멕시코, 일본과 연계해 운영해 온 양성평등 태스크포스(TF) 활동 보고서를 발표했다. WEF는 이번 보고서에서 양성평등 TF를 운영해 온 국가들의 성 격차 변화 추이를 2014년과 비교해 구체적으로 기술했다. WEF가 지난해 11월 발간한 ‘세계 성 격차 보고서 2015’에 따르면 한국의 성평등 지수는 ‘0.65’(1에 가까울수록 평등)로 145개 조사 대상국 중 115위로 나타났다. 한국 여성이 남성과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할 때 받는 임금은 남성의 55% 수준이며, 생애추정소득도 남성의 56%에 불과하다.

WEF가 이번에 발표한 보고서는 지난해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및 기회’가 남성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성 격차가 49%였던 2014년에 비해 5% 포인트 줄었다고 지적했다. 여성가족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2014년 ‘여성인재 활용과 양성평등 실천 TF’를 설치했다. 현재 TF에는 국내 30대 기업 등 142개 기업·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이들 기관을 대상으로 참여 전후 변화를 묻는 설문조사 결과 조직 내 진급된 여성 비율은 15.6%에서 29.9%로 높아졌다.

보고서에는 여성이 고위직에 진출하는 비율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WEF는 “여성의 능력 관련 격차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춰 노력해야 한다”며 “남녀 노동 참여율이 비슷한 상태로 20년 이상 지속되면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5% 포인트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시간제 노동자 중 여성의 비율은 15%로 남성(7%)의 2배 이상인 반면 전문직·기술직 노동자 가운데 여성의 비율은 45%에 머물렀다. 특히 국회의원·정부 고위층·경영자의 여성 비율은 11%로 미미한 수준이다.

또 한국 여성이 하루 평균 무급으로 일하는 가사노동 시간은 4.6시간으로 남성의 5배 이상이었다. 남성의 가사노동 시간은 0.8시간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06-20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