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블로그] ‘옥시 납품’ 유통업체, 이익은 챙기고 책임은 피하나

[현장 블로그] ‘옥시 납품’ 유통업체, 이익은 챙기고 책임은 피하나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6-06-14 01:18
업데이트 2016-06-14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옥시 아웃!’

13일 전국 대형마트 곳곳에서 이런 피켓을 든 시민단체와 환경단체 회원들이 동시다발 침묵 집회를 열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221명 중 177명이 사용한 옥시레킷벤키저 제품을 철수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은 지난달 초에 옥시 제품을 팔지 않겠다고 밝혔는데 아직도 이 제품을 판매하기 때문입니다. 시민단체 회원들은 “발표 한 달이 지나고도 옥시 제품을 파는 것은 소비자를 우롱하는 일”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한 마트 관계자는 “재고 소진이 안 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새로 옥시 제품을 들여오지는 않았지만 이미 발주한 물량까지 회수할 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그래도 판촉 활동은 하지 않았다는 말도 덧붙였습니다.

옥시 제품을 납품하는 시판·위탁 대리점 등 중간 유통업체도 당장 살길이 막막하다고 했습니다. 한 유통업체 사장은 “잘못은 책임져야 맞지만 본사의 잘못을 유통업체가 짊어지기엔 버겁다”고 말했습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안타깝지만 기업은 이윤을 추구할 수밖에 없지 않으냐”고 주장했습니다. 유통업자들은 책임이 없는 ‘선의의 피해자’가 아니냐는 의견도 있습니다.

반면 그간 옥시 제품을 팔아 수익을 남겼다면 마트나 중간 도매상 모두 공범이나 다름없다는 분노의 목소리도 높습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피해를 함께 입히면 공동정범이 되고, 피해를 입히도록 교사하거나 방조한 경우 넓은 의미의 공범으로 교사범이나 방조범이 됩니다. 제품의 유해성을 몰랐다는 이유로, 본사보다 책임이 조금 작다는 이유로 유통업체는 잘못이 없는 걸까요.”

옥시의 방패 뒤에 숨는 모양새도 문제입니다. 롯데마트가 2006년 가습기 살균제 PB(자체브랜드) 상품을 출시해 41명의 피해자가 발생했습니다. 홈플러스는 2004년 PB 제품을 팔았고 이로 인해 28명의 피해자가 나타났습니다. 이마트도 애경산업이 만든 가습기 살균제를 팔아 39명에게 피해를 안겼습니다. 유통업계도 가습기 살균제 사태에 대해 좀 더 큰 책임감을 느끼길 바랍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06-14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