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치여 숨진 ‘스크린도어 정비공’, 대학가려 월급 144만원 중 100만원 적금부터

열차 치여 숨진 ‘스크린도어 정비공’, 대학가려 월급 144만원 중 100만원 적금부터

최훈진 기자
입력 2016-06-03 11:24
업데이트 2016-06-03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장난 스크린도어를 수리하다 열차에 치여 숨진 김모(19)씨가 대학을 가기 위해 적금을 부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대학 졸업장이 있어야 대접받고 살 수 있다”는 은사의 독려에 생활하기에도 빠듯한 한 달 월급 144만원 중 100만원을 적금으로 붓고 나머지 44만원으로 생활하며 동생 용돈까지 챙겨준 사실이 알려져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김씨 유족은 3일 오전 빈소가 차려진 광진구 건국대병원 장례식장에서 “고등학교 담임 선생님이 말하길 우리 아이가 친구들과 함께 각자 100만원씩 다섯 달 동안 적금을 들었다더라”고 전했다.

김씨의 담임교사는 김씨와 친구들에게 “너희는 졸업을 해도 내 제자고, 나는 너희가 대학 가는 모습을 봐야겠다”며 진학을 독려했다고 한다.

이를 허투루 듣지 않았던 김씨는 나중에 대학 등록금으로 쓰려고 올해 초부터 월급을 쪼개 적금을 부었다.

김씨의 이모는 “아이 월급이 세금 떼고 144만6천원이었는데 그중에 적금과 기본 생활비가 빠지면 30만원 정도를 한 달 용돈으로 쓴 셈”이라며 “거기서 동생 용돈까지 챙겨줬으니 얼마나 속이 깊은 아이냐”고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김씨가 어떤 공부를 하고 싶어 했는지는 유족도 잘 알지 못했다. 다만 김씨는 모친에게 “정비 일 하면서 따로 공부하면 지하철 기관사도 될 수 있다더라”고 말한 적이 있다고 한다.

김씨 유족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전날 ‘유족이 동의하시면 명예 기관사’ 자격을 부여하겠다‘고 제안한 것에 대해 “아직 이러한 제안을 직접 듣지 못했고 제안이 오면 차분히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씨와 같은 일을 하는 스크린도어 정비사의 작업 환경이 이번 사고가 터진 뒤에도 아직도 그대로라며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씨 이모는 “오늘도 은성PSD 정비사가 조문을 왔는데 ’사람 부족한 건 여전하고 똑같은 환경에서 바뀐 것 없이 일하고 있다‘고 하더라. 무서워서 손이 떨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는 지금도 ’나 홀로' 작업을 하는 사람이 있다는 얘기”라며 “서울메트로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전에, 오늘도 위험하게 일을 하는 우리 아이 동료의 안전부터 확보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간밤에 김씨 빈소에는 천정배, 표창원, 우원식, 송기헌, 이명수 등 여야 국회의원과 유경근 4·16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 세월호 유가족 김광배씨, 방송인 김제동씨 등이 찾아와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고 유족은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