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교 복도 폭 2.4m 이상”…안전시설 기준 강화

“특수학교 복도 폭 2.4m 이상”…안전시설 기준 강화

입력 2016-05-26 07:28
업데이트 2016-05-26 07: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수학교 시설·설비 기준령 개정안 입법예고

특수학교에 다니는 장애학생들을 각종 교내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시설·설비 기준이 강화된다.

교육부는 ‘특수학교 시설·설비 기준령’ 일부 개정안을 26일 입법 예고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에는 특수학교의 보행로·승하차구역·복도·계단·경사로 등 구체적인 시설·설비 안전기준을 명시한 조항(제7조)을 신설한 것이 특징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앞으로 특수학교를 신설할 때 건물로 이어지는 주 보행로는 휠체어 교행이 가능하도록 폭을 1.8m 이상으로 만들어야 한다. 건물 내 복도도 휠체어의 양쪽 방향 통행이 가능하도록 최소 2.4m의 폭 기준이 충족돼야 한다.

학교 통학 차량의 승·하차 구역에는 휠체어 대기와 승차와 하차가 가능한 유효면적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

학교 건물의 주 출입구에 유리문을 설치할 경우 색띠 등 부딪힘 방지장치 설치가 의무화되며, 문틈에는 손 끼임 방지장치도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이외에 개정안은 유치원에 준하는 특수학교를 설립할 경우 특수학교 시설·설비 기준이 적용되도록 근거조항을 마련했다.

또 특수학교 교지면적 확보 기준이 되는 학급 수에서 순회학급(교사가 장애학생 가정이나 병원 등을 방문해서 교육하는 학급)은 제외할 수 있도록 했다.

교육부는 입법예고 기간에 제시된 의견을 검토해 개정안에 반영한 뒤 오는 11월에 개정안을 공포·시행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