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부모 부양해야죠” 90% → 32%

“자녀가 부모 부양해야죠” 90% → 32%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6-05-24 22:40
업데이트 2016-05-25 0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여년 새 옅어진 가족의 情

“사회가 책임져야” 응답 51.7%… 1998년 2%서 25배 이상 늘어
성인 10명 중 6명꼴 부모 부양… 월평균 부양 비용 34만원 지출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가운데 부모를 부양하는 사람은 10명 중 6명꼴이며 부모 부양에 월평균 34만 8000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부양 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 부양 특성과 정책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부모가 1명 이상 생존한 791명 가운데 56.6%인 448명이 최근 1년간 용돈을 드리는 등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했다. 이 중 친부모를 부양한 사람이 33.9%로 가장 많았고 배우자 부모는 15.8%로 친부모 부양 비율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나머지는 친부모와 배우자 부모를 함께 부양했다.

월평균 부양 비용은 34만 8000원이었다. 20대가 부모 부양에 가장 많은 43만 5000원을 썼고 30대 40만 3000원, 40대 34만 1000원, 50대 32만 8000원, 60대 15만원 순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부양 비용을 덜 썼다. 경제적 부양 빈도는 비정기적 지원이 정기적 지원보다 많았다.

한국인 절반 이상이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지만 부모와 동거하며 부양하는 사람은 36.9%에 그쳤다. 부모가 자녀로부터 보호받는 환경이 상당히 약화된 것이다.

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도 지난 10여년간 크게 바뀌었다. 1998년 통계청 사회조사에선 가족(자녀)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이 89.9%로 대부분이었지만 2014년 조사에선 31.7%로 크게 줄었다. 대신 사회가 부모 부양을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이 1998년 2.0%에서 2014년 51.7%로 25배 이상 늘었다.

친밀도도 떨어져 47.0%가 떨어져 사는 부모와 일주일에 한두 번 통화했고 19.3%는 한 달에 한두 번, 5.7%는 1년에 몇 번 정도로 거의 연락하지 않았다. 매일 전화한다는 응답자는 25.9%뿐이었다.

보고서는 “가족 부담 경감 측면에서 가족 부양에 대한 경제적 보상 방안 도입을 모색하고 연금제도를 비롯한 사회보장제도 강화, 정년 연장 등 노후 준비 지원 프로그램을 내실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5-25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