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블로그] ‘형사 시험’ 경찰 몰리는데… 젊은 형사는 왜 부족할까

[현장 블로그] ‘형사 시험’ 경찰 몰리는데… 젊은 형사는 왜 부족할까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16-05-22 23:14
업데이트 2016-05-23 0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의 꽃’으로 불리던 형사가 기피 보직으로 밀린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근무 여건이 열악하고 위험한 일도 많기 때문입니다. 일부 경찰서에서는 20대는커녕 30대 형사도 찾기 어려울 정도라고 합니다. 서울의 한 형사과장은 이렇게 말합니다. “인사철만 되면 다른 경찰서에 있는 젊은 형사들을 빼오려고 치열한 경쟁이 붙습니다. 서울 같은 대도시는 좀 나은 편인데, 지방에는 형사들이 죄다 50대 이상인 곳들도 있을 정도입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형사를 포함한 수사특기 경찰을 뽑는 ‘수사경과시험’(형사법 능력평가)의 경쟁률은 매년 오르고 있습니다. 경찰은 2013년부터 새롭게 수사 업무를 맡게 되는 신규 인력은 이 시험에 응시하도록 했습니다. 첫해인 2013년에는 1.28대1, 2014년에는 1.18대1이던 경쟁률은 지난해 1.48대1로 약간 올랐습니다. 그런데 다음달 4일에 치러질 올해 시험은 2500명 모집에 6197명이 접수해 경쟁률이 2.47대1로 수직 상승했습니다. 이 수치에 대해 경찰 내부에서도 놀랍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속사정을 알면 마냥 긍정적으로만 보긴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올해 응시한 대다수가 순경, 경장 등 초임 경찰입니다. 일선서의 한 형사는 “대개 경찰이 된 초기에는 형사를 동경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연차가 쌓이면 형사를 기피하기 마련”이라며 큰 의미를 두지 않았습니다.

또 수사경과에는 형사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지능범죄, 경제범죄, 여성청소년, 교통, 외사 등 다양한 분야가 있습니다. 한 경찰은 “형사 당직팀의 인기는 바닥에 떨어졌고 경제팀이나 여성청소년팀 등 몸보다 머리를 쓰는 곳의 인기가 오르고 있다”고 했습니다. 현재 약 11만명인 경찰 중 약 2만 5000명(약 22%)이 수사경과자입니다.

사명감만 앞세워 형사를 하라고 독려하는 것은 무리인 세상이 됐지만 가장 큰 우려는 치안 공백입니다. 50대의 한 형사가 말했습니다. “몸으로, 악으로, 깡으로 뛰는 형사들에게 승진이나 보수 면에서 상응하는 보상을 해주어야 합니다. 인기가 있든 없든, 형사는 예나 지금이나 경찰의 기본적인 존재 이유 아닙니까.”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6-05-23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