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수십마리씩 잔인하게, 위생시설 없이…개 도축장 성업

하루 수십마리씩 잔인하게, 위생시설 없이…개 도축장 성업

입력 2016-05-22 10:48
업데이트 2016-05-22 1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식용가축’ 명시 안돼 단속 근거 없어…“명확한 규제 기준 마련돼야”

진동하는 악취에 전기 충격기와 녹슨 각종 기구에 엉겨 붙은 개털들.

의정부시 외곽에 있는 한 개 도축장의 모습이다. 위생 시설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개 도축 시설이 버젓이 운영 중이지만 이를 규제할 마땅한 제도가 없어 지자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22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시청 직원과 경찰관들이 시 외곽에 있는 한 개 도축장을 단속하기 위해 급습했다. 패널과 비닐 천막 등으로 조잡하게 만들어진 도축장이었다.

안에서는 개의 숨을 끊을 때 쓰는 전기 충격기와 털을 태우거나 정리하는 기기들, 도축한 개 고기를 씻는 수도 시설 등이 발견됐다. 하나같이 위생과는 거리가 멀었다.

도축장 옆 사육장에서는 도축을 기다리는 십여 마리의 개들이 발견됐다.

당연히 축산물위생법상 불법 도축 혐의로 기소될 법한 사안이었지만 이 시설은 폐수 시설을 갖추지 않고 오ㆍ폐수를 하천으로 흘려보낸 혐의만 인정돼 기소의견으로 송치됐다.

어째서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대답은 간단하다. 개는 현행법상 식용으로 소비되는 가축이 아니기 때문이다.

축산물위생관리법상 가축의 도살은 허가받은 도축장에서 할 수 있지만 개는 가축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즉, 주인이 임의로 시설을 만들고 여기서 개를 식용으로 도살해도 법적으로 처벌할 근거는 없다.

개를 잔혹하게 도축하면 동물학대 혐의가 적용될 수 있지만 현장을 포착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이번에 적발된 시설은 평소에는 하루 10∼20마리, 복날 등 개고기 수요가 많은 시점에는 하루 평균 50마리 이상을 도축하는 전문 도축장 역할을 해 온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에 대한 당국의 대응은 사실상 속수무책에 가까우며 당국 역시 이 점을 부인하지 않는다.

시 관계자는 “시골에서 마을 사람들끼리 개 한 마리 잡아 나눠 먹는 것이야 문제가 될 소지가 적지만, 이처럼 일정 규모 이상의 도축과 고기 유통이 이뤄지는 시설이 법의 테두리 밖에 있다는 점은 분명한 문제”라고 말했다.

도축 과정에서 나온 피와 오물 등이 흘러나와 하천을 오염시키고 개가 도축될 때 나는 소음과 악취, 혐오감 등 때문에 민원도 끊이지 않는다.

시와 경찰은 이러한 민원으로 지난해에도 비슷한 규모의 개 도축장 2곳을 단속했지만 당시에도 폐수처리 시설 미비 혐의만 적용했을 뿐이다.

시 관계자는 “해당 시설에 민원이 끊이지 않아 자진 폐업을 권고했지만 ‘왜 먹고 살 수단을 빼앗으려 하느냐’는 반발만 듣고 있다”며 “규제할 근거가 마땅찮아 골머리만 썩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사정은 경기도 외곽의 다른 지자체들에서도 비슷하지만 경찰에서도 “개는 단속해봤자 입건도 못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라, 단속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물 자유연대 조희경 대표는 “불법 개 도축장에서는 개를 잔혹하게 도살하거나 다른 개가 보는 앞에서 개를 잡는 등 동물 학대가 발생할 가능성이 다분하다”며 “개를 식용으로 도살하는 것에 대한 명확한 규제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