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때리기 대회, “졸거나 웃어도 안 돼” 15분마다 심박수 체크 ‘엄격 기준’

멍때리기 대회, “졸거나 웃어도 안 돼” 15분마다 심박수 체크 ‘엄격 기준’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6-05-22 21:36
업데이트 2016-05-22 2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2일 오후 서울 이촌한강공원 청보리밭 일대에서 열린 2016 한강 멍때리기 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생각에 잠겨있다.
22일 오후 서울 이촌한강공원 청보리밭 일대에서 열린 2016 한강 멍때리기 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생각에 잠겨있다.
22일 서울 이촌한강공원 청보리밭에서 열린 ‘멍때리기 대회’에는 남녀노소 70명이 참석해 멍한 표정으로 앉아 있었다.

초등학생부터 노신사까지 개성 넘치는 복장과 소품으로 참석한 ‘멍때리기 대회’ 선수들은 31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본선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이들은 “스트레스를 풀고 싶어서”, “재미있을 것 같아서” 대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28세 여성 회사원이라는 한 참석자는 ‘결재서류’라고 적힌 검은색 결재판을 들고 나와 “결재를 받는 순간과 상사가 뭐라고 할 때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다”면서 “회사에서 멍 때리고 있으면 혼나는데, 여기선 상을 준다고 해서 나왔다”고 말했다.

초등학교 2학년 김지혜(8)양은 ‘학교가 끝나면 학원을 돌며 공부하는데 계속 쓰는 머리를 비울 수 있어 좋다“면서 ”재미있을 것 같다“고 참가 배경을 설명했다.

미국인 캐이시 카들릭(26)씨는 대전에서 KTX를 타고 상경해 대회에 참석했다. 미키마우스 잠옷을 입고 온 그는 ”평소에도 몽상을 즐긴다“며 ”그저 아무것도 하지 않고 멍한 상태를 즐기고, 오늘 하루 릴렉스하고 싶어 참가했다“고 말했다.

이날 참가자들은 수련자가 진행한 ’멍때리기(氣)‘ 체조를 시작으로 1시간 30분 동안 경쟁을 벌였다.

멍때리기를 하면서는 휴대전화를 확인하거나 졸거나 자면 안 되고 웃거나 노래 부르기, 잡담하기도 실격 처리된다.

대회에는 간호사와 의사 의상을 입은 남녀가 스태프로 나와 규정을 위반한 선수가 있는지 감시했고, 15분마다 선수들의 심박수를 체크해 얼마나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지 기록하기도 했다.

주최 측은 더위가 심해지자 행사장에 얼음물 등을 준비하고, 참가자들의 건강에 주의를 요청했다.

참가자들은 대회를 하는 동안 마사지 서비스, 음료 서비스, 부채질 서비스 등을 받으며 멍때리기를 이어갔다.

이날 대회는 개인 자격으로 출전한 R&B 가수 크러쉬(본명 신효섭·24)가 가장 안정적인 심박수 그래프 곡선을 그려 우승을 차지했다.

크러쉬는 ”대회 내내 아무 생각 없이 멍 때리고 있었는데, 1등 할 줄 몰랐다“면서 ”정신과 육체를 휴식하는 좋은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이날 대회를 주최한 ’웁쓰양'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현대인은 잠자는 시간을 빼면 뇌를 혹사하며 살고 있다“면서 ”뇌를 쉬게 하고, 멍 때리기로 상징되는 행위가 그저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 대회 형식을 빌려 시민참여형 퍼포먼스를 벌였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