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현판 오자 10년간 방치

경복궁 현판 오자 10년간 방치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5-18 22:48
업데이트 2016-05-18 2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6년 연구용역 보고서 지적…문화재청 “오류 확실하면 교체”

한자 표기가 잘못된 경복궁 현판 3개가 10년째 오자(誤字) 그대로 방치돼 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경복궁 교태전 권역의 ‘보선당’과 함원전 권역의 ‘자선당’, ‘융화당’ 현판은 19세기 말 제작된 경복궁 평면배치도인 ‘북궐도형’(北闕圖形), 조선 시대 문헌 ‘궁궐지’(宮闕志), ‘일성록’(日省錄) 등과 대조했을 때 글자에 오류가 있었다. 이들 현판은 모두 1995년 만들어졌다. 문화재청은 2006년 연세대 국학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고궁현판 학술조사 연구용역’ 보고서를 통해 오류를 파악하고서도 10년간 그대로 놔뒀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교태전 남쪽 행각의 서편에 있는 보선당(왼쪽·補宣堂) 현판은 본래 ‘보의당’(補宜堂)이다. 보의는 ‘천지의 마땅함을 보상하다’라는 뜻으로 주역의 ‘보상천지지의’(補相天地之宜)에서 왔다. 함원전 서쪽 행각에 있는 자선당(가운데·資善堂)과 융화당(오른쪽·隆化堂)은 각각 자안당(資安堂)과 융화당(隆和堂)이 올바른 표기다.

보고서는 함원전 권역의 두 현판에 대해 1915년 이후 출판된 자료에 나오는 명칭으로 현판을 새로 교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오류가 확실하다고 판단되는 현판은 교체할 계획”이라며 “수리할 시점이 되면 고증조사와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바꾸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5-19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