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최저-최고 등급 간 성과급 차이 최대 168만원

교사 최저-최고 등급 간 성과급 차이 최대 168만원

입력 2016-05-12 09:44
업데이트 2016-05-12 09: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과상여금 차등지급률 확대…성과급 재분배하면 최고 ‘파면’ 추진

올해 근무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받은 교사와 최저등급을 받은 교사 간 지급되는 상여금의 차이가 168만원에 이르게 된다.

교사 개인성과금 차등지급률이 기존 최소 50%에서 올해 70%로 확대된 데 따른 것이다.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의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성과급) 지급지침을 최근 시·도교육청에 내려보냈다고 12일 밝혔다.

성과상여금 평가 등급은 기존 학교성과금과 개인성과금을 조합해 9개 등급으로 매기던 것을 학교성과금 폐지에 따라 개인성과금 S, A, B 3등급으로 단순화했다.

상대평가 방식으로 최고 등급인 S등급은 30%, A등급은 40%, 나머지는 B등급을 받는다.

차등지급률은 전체 상여금 중 차등지급되는 금액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체 상여금이 1억원이고 차등지급률이 70%라면 7천만원을 평가에 따라 차등지급하고 나머지 3천만원은 균등지급한다.

차등지급률을 70%로 적용했을 때 S등급은 442만6천590원, A등급은 346만5천30원, B등급은 274만3천860원을 성과상여금으로 받아 S등급과 B등급의 성과금 격차가 168만원이 된다.

교육부는 과거 학교성과금이 있을 때 학교성과와 개인성과 모두 S등급을 받은 교사와 모두 B등급을 받은 교사 간 성과금 차이가 166만원이었던 점을 고려해 학교성과금 폐지 이후에도 S등급과 B등급 간 차이가 비슷하게 유지되도록 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존처럼 차등지급률을 50% 이상으로 할 경우 최고와 최저등급의 지급액 차이가 줄어들게 된다”면서 “성과관리가 강조되는 상황에서 차등지급률을 최소 70%로 해야 지난해 지급액 차이를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교원단체는 반발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이번 지침으로 학교 내 교사 간 성과급 격차가 종전보다 30만∼50만원 이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총은 “성과급제가 교원의 교육활동을 객관화, 수량화할 수 없는 본질적 한계를 끊임없이 노출하며 논란만 야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평가지표를 개선하지 않고 차등지급률의 확대로만 방향을 잡아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라며 교육부에 지급비율과 평가지표 등 합리적 성과급 제도 개선을 협의할 것을 요구했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교사들의 상여금 재분배에 대해 최고 파면까지 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는 교육공무원이 성과상여금을 부정 지급 받을 경우 파면까지 할 수 있는 내용의 ‘교육공무원 징계양정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할 예정이다.

성과상여금 부정지급에는 담합이나 몰아주기로 성과상여금을 받거나 성과상여금을 근무성적, 업무실적 등 성과와 상관없이 배분하는 행위, 상여금을 재분배하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

개정안은 또 성희롱한 교육공무원도 일반직 공무원에 준해 징계하고 직무와 관련해 100만원 이상의 재산상 이득을 취하거나 제공할 경우 파면 또는 해임하도록 징계 기준도 세분화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