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공부벌레들과 생활… 외교관의 꿈 꼭 이룰것 같아”

“서울대 공부벌레들과 생활… 외교관의 꿈 꼭 이룰것 같아”

입력 2016-02-25 23:42
업데이트 2016-02-26 0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졸업생 대표 연설 몽골인 오강바야르

“한국도 몽골처럼 강대국에 둘러싸여 있더라고요. 서울대에서 공부한다면 외교관의 꿈을 꼭 이룰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오강바야르
오강바야르
26일 열리는 서울대 제70회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생 대표 연설을 하게 된 몽골인 유학생 오강바야르(24·정치외교학부 4학년). 그는 “한국의 공부벌레들과 정신없이 생활하다 보니 어느새 졸업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2013년 고려인 3세 홍야나(26·여) 이후 외국인으로는 두 번째로 졸업생 대표 연설을 하게 된 오강바야르는 2010년 서울대 언어교육원에서 한국어를 배우며 서울대와 인연을 맺었다. 몽골에 있는 외국어중·고교에 다닌 것이 국제 문제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됐다.

“몽골은 면적이 한국의 7배에 이르지만 인구는 300만명밖에 안 돼요. 위로는 러시아, 아래로는 중국과 이웃하고 있으니 외교가 중요할 수밖에 없죠.”

유학생들은 교내외 활동에 소극적이기 쉽지만 오강바야르는 2011년 9월 서울대에 정식 입학한 이후 더 적극적으로 활동에 나섰다. 2013년 8월에는 인도네시아에서 해비탯(주거빈곤 퇴치사업) 봉사를 벌였고 지난해 12월에는 중국에서 사막화 문제를 살피기도 했다.

2014년 3월부터 서울대 외국인 학생회 회장을 지낸 그는 인권차별을 겪는 유학생과 인권센터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기도 했다. 졸업 후 잠시 고향으로 돌아가 가족과 시간을 보낼 생각이다. 내년에 국내에서 대학원에 진학할 예정인 그에게 휴식 시간은 길지 않다. 그는 “한국으로 오는 몽골 친구들에게 따뜻한 선배가 되는 것도 제 목표”라며 한국과 몽골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6-02-26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