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은 되려나… ‘불안한 20대’ 강박장애 최다

취업은 되려나… ‘불안한 20대’ 강박장애 최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6-02-09 22:34
업데이트 2016-02-10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체 환자 수 4년 새 13.1% 증가

20대 상당수가 지나치다는 것을 알면서도 하루에 수십 번씩 손을 씻거나 정리정돈을 하는 등 특정 행동을 되풀이하는 강박장애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젊은이들에게 강박장애를 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진료내역을 분석한 자료를 보면 강박장애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0년 2만 490명에서 2014년 2만 3174명으로 13.1%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강박장애 환자 수는 20대가 86.3명으로 모든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20대 106.2명, 30대 69.9명, 10대 61.2명 순이었고 여성의 경우 20대 64.1명, 30대 53.3명, 40대 41.1명으로 남녀 모두 20대가 많았다.

이선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20대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직장생활, 가정생활의 어려움이 스트레스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강박장애는 원하지 않는 생각이 반복적으로 떠오르고, 숫자 세기, 손 씻기, 대칭 맞추기 등 강박적 행동을 하는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강박사고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이므로 불안을 일으키고 이 불안을 조정하기 위한 자신만의 대책으로 강박행동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3이란 숫자를 떠올리면 재수가 없다고 생각해 종이 3장을 찢어버려야 불안감이 일시적으로 해소되는 식이다. 대부분 이런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이 비합리적이란 것을 알지만 멈출 수 없고, 강박행동을 하고 나면 결과적으로 더 불안해진다.

이 교수는 “강압적이지 않고 편안하며 화합하는 분위기, 성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고 지적하기보다는 스스로 고쳐갈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가 조성돼야 강박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2-10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