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 독자에 대한 사과와 반성

초판 독자에 대한 사과와 반성

입력 2015-08-10 14:16
업데이트 2015-08-10 18: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고지 3장짜리 ‘길섶에서’를 쓰면서 혼줄이 났다.

‘태극기의 의미’란 제목으로 나간 지난 8일자 ‘길섶에서’는 10판 이후 약간의 손질이 불가피 했다. 첫 문장이 초판 상황 때와 달라져 내용이 잘못돼 버렸기 때문이다. 이날 오후 4시쯤 시작된 천둥과, 앞을 가리기 힘든 폭우가 그 원인을 제공했다.

초판 때는 ‘청계천 배오개다리 난간에 내걸린 초대형 태극기가 눈길을 사로 잡는다.’로 첫 문장을 시작했다. 서울시민 100여명이 광복 70년을 기념해 손 바느질로 이틀만에 완성한 가로 21m, 세로 14m의 시민태극기를 말하는 것이다. 찜통이 돼 버린 8월의 서울광장에서 수백 조각의 흰천을 한땀 한땀 이어붙인 정성이 예사롭지 않다는 내용을 알리기 위한 글이었다.

기사를 위해 이날 낮 2시쯤 서울광장을 찾았다. 이틀째 태극기 제작하는 모습을 확인했고, 예정대로 오후 4시쯤 시가지 행진과 함께 시민들이 제작한 대형 태극기가 청계천 배오개 다리 난간에 걸려진다는 것도 행사 관계자를 통해 확인했다. 아울러 서울 도서관에서 태극기와 관련된 사안을 추가 취재하기도 했다.

기사 분량은 3장 밖에 되지 않아 대략 30~40분만에 완성이 됐다. 무슨 내용으로 채워야 할지, 좀 어려운 주제가 아니었나 싶었지만, 그런대로 완성이 됐다는 생각에 기분도 홀가분했다. 이후에도 몇번을 더 읽어봤다.

잠시 짬을 내 11층 화장실을 들렀는데 창밖은 폭우가 한창이었다. 그때가 4시 전후였다. 청계천에서 예정된 태극기 게양행사가 잘 치러졌는지 궁금해졌다. 곧바로 1층 로비로 내려가 태극기를 만든 시민들의 행진이 있었는지 물었다. 행사 관계자는 아니었지만 폭우에도 예정대로 시민들의 행진이 진행됐다는 것을 들었다. 자리로 돌아와 다시한번 원고를 읽은 후 곧바로 ‘길섶에서’ 기사를 출고했고 그대로 초판에 실렸다.

퇴근길에는 비가 그쳤다. 회사앞을 나서 1호선 시청역을 향하다 갑자기 “배오개다리에는 예정대로 태극기가 잘 내걸린게 맞나?”하는 생각이 떠올랐다. 벌컥 자신이 없어졌다. “혹시 폭우로 취소됐으면 엉터리기사가 되는데”라는 생각이 들었다. 확인해봐야 한다는 생각이 강해졌다. 더구나 청계천변이니 천천히 걸어서 확인하고 종로 3가 또는 5가 쯤 전철을 타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산책을 한다는 홀가분한 마음과 함께 혹시 태극기가 내걸리지 못했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다. 아니나 다를까 염려했던대로 20여분을 걸어간 배오개다리에는 대형 시민태극기가 보이지 않았다. 태극기를 펼칠 수 있도록 한 몇줄의 동아줄만이 청계천을 가로질러 설치돼 있었다.

난감하기 짝이 없었다. 초판의 칼럼 첫문장이 엉터리가 된 것이다. 재빨리 온라인국의 야근자와 사회부 야근자를 확인해 수정을 부탁했다. ‘청계천 배오리다리에 내걸릴 초대형 시민태극기에 관심이 쏠린다.’로 정정했다. 시간은 오후 8시쯤이였다. 오랜만에 취재현장에서 느끼는 긴장감을 느겼다. 초판 독자에 대한 송구스러움과 좀더 철저히 확인하지 못한 나의 부주의를 반성하면서.

이동구 논설위원 yidonggu@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