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평균 거래액, 국내 인터넷 쇼핑의 2배”

“해외직구 평균 거래액, 국내 인터넷 쇼핑의 2배”

입력 2015-02-05 11:18
업데이트 2015-02-05 1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균 15만 9천원…만족 높지만 피해도 1년새 44% 늘어

인터넷으로 해외구매, 일명 ‘해외직구’를 할 때 쓰는 비용이 회당 평균 15만 9천원으로 국내 인터넷 쇼핑(7만원)보다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는 최근 1년 내 인터넷 쇼핑몰 이용 경험이 있는 4천명을 조사한 결과 2명 중 1명은 해외직구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5일 밝혔다.

조사결과를 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인터넷 쇼핑몰 이용 경험이 많았고, 해외직구는 1년에 4회가량 이용한다는 응답이 19.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월 1회(17.5%), 2개월에 1회(14%) 등 순이었다.

또 해외직구 시 남성의 1회 평균 지출비용은 16만 7천600원으로 여성(15만 5천200원)보다 약 1만 2천원 많았고, 40대의 평균 지출이 19만 4천원으로 가장 높았다. 그 외 연령대는 15만원대로 비슷했다.

이용자의 50.8%는 해외직구의 가장 큰 장점으로 국내보다 저렴한 가격을 꼽았다. 22.8%는 국내에서 판매하지 않는 제품을 살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단점으로는 배송 지연(26.6%), 교환·환불 어려움(24.1%), 반송 시 배송비 부담(15%) 등을 꼽았다.

해외직구를 통해 주로 사는 상품은 의류와 화장품, 신발, 식음료와 건강식품, 생활용품과 가전, 컴퓨터와 주변기기, 아동용품 순이었다.

해외직구에 대한 만족도는 68.4%로 나타나 국내 구매 만족도(69.2%)와 거의 비슷했다. 75.1%는 다시 해외직구를 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나 해외직구 열풍과 함께 소비자 피해도 느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해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해외직구 관련 피해신고는 1천154건으로 2013년(801건)보다 약 44% 증가했다.

피해품목은 패션이 84.5%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피해 유형은 계약취소·반품 관련이 38.6%로 가장 많았다.

피해자 중 64.6%는 구매업체에, 8.8%는 관계기관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26.6%는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고 포기했다고 답했다.

정광현 서울시 민생경제과장은 “손해를 입어도 언어적 부분으로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해외직구가 활발한 주요국가들과 협의체를 구성해 소비자 피해구제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