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19구급대 하루 1천327회 출동…50대 환자 최다

서울 119구급대 하루 1천327회 출동…50대 환자 최다

입력 2015-02-05 09:38
업데이트 2015-02-05 09: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 119구급대가 지난해 하루 평균 1천327회 출동해 901명을 병원에 이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의 ‘2014년도 119구급대 활동실적 분석’ 자료를 보면 구급대는 지난해 총 48만 4천494건 출동해 32만 8천721명의 환자를 이송했다.

환자유형별로는 급·만성질환이 19만 5천898명으로 전체의 59.6%를 차지했다.

이어 추락과 낙상(15.5%), 기타사고(12.9%), 교통사고(10.2%), 심장질환(1.8%)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51∼60세 환자가 전체의 17.5%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71∼80세(13.8%), 41∼50세(13.7%)가 뒤를 이어 노인층과 중장년층의 이용률이 높았다.

직업별로는 무직이 7만 8천937명으로 전체의 24%를 차지했고 그 다음은 주부(10%), 회사원(9%), 학생(7%) 등이었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8∼10시에 3만 4천31명(10.3%)이 구급대를 이용했으며 오전 10시∼낮 12시(9.7%), 오후 8∼10시(9.4%)에도 이용이 잦았다.

월별로는 추운 12월에 가장 많은 2만 9천969명(9.1%)이 구급대를 이용했고 이어 5월(8.9%), 폭염이 있는 7월(8.8%) 순이었다. 2월에는 2만 3천915명으로 이용횟수가 가장 적었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에서 1만 8천163명(6.1%)으로 이용건수가 가장 많았고 강서구(6%), 송파구(5.7%)가 뒤를 이었다. 금천구는 8천644명으로 가장 적게 이용했다.

아울러 구급대원들은 지난해 환자 32만 8천721명에게 88만 1천998건의 응급처치술을 시행했다.

가장 많이 한 응급처치는 기도확보로 총 20만 5천858건(23.3%) 시행했다. 이어 보온(10.9%), 상처 처치(9.6%) 순이었다. 구급차 안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5명이었다.

구급대를 이용하면서 이송 병원은 환자나 보호자가 결정하는 경우가 69%로 가장 많았다.

최근 5년간 구급대 출동건수는 연 평균 3.9%, 이송인원은 4.2% 증가했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설 명절 등 시민 활동이 활발한 시기에 구급대를 선제적으로 배치해 적극적으로 서비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