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색보단 실용주의…더 방대해진 박원순 싱크탱크

정치색보단 실용주의…더 방대해진 박원순 싱크탱크

입력 2015-02-05 09:37
업데이트 2015-02-05 09: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거 지원 인물보다 전문가 선택…8개 분야 78명

시민사회 출신으로 범야권의 지원을 받아 2011년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박원순 서울시장은 취임부터 작지 않은 규모의 ‘정책 자문단’을 내세웠다.

시민운동가 출신답게 자문단에는 시민단체 인사가 대거 참여했으며, 선거 당시 정책 공약을 만들거나 직·간접적으로 선거를 지원한 사람도 다수 포함됐다.

자문단 단장은 서왕진 현 서울시 정책수석이 맡았으며 김수현 현 서울연구원장이 총괄 역에 나섰다.

이외에 오충현 동국대 교수, 서채란 민변 변호사, 허선 순천향대 교수 등 박 시장 선거 캠프에서 정책 자문을 했던 사람도 대거 기용돼 박 시장의 공약을 실제 정책으로 이어지게 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후 1기 시정의 핵심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설치된 희망서울시정운영위원회는 정무부시장을 비롯해 안철수 의원의 측근으로 불린 하승창 씽크카페 대표, 오영식 의원, 정호진 정의당 서울시당 위원장 등 좀 더 정치색이 가미됐다.

이들은 박 시장 취임 직후 인수위원회가 별도로 없던 상황에서 10대 핵심 정책과제와 52개 실행과제를 선정하고 자문했다.

그러나 박 시장이 재임에 성공하고 2기에 접어들면서 ‘싱크탱크’에도 변화가 생겼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선거에 함께 뛰었던 인물인지와 관계없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게 됐으며 규모도 매머드급이 된 것이다.

지난달 개편된 ‘시정계획자문단’은 8개 위원회에 무려 78명이 참여하고 있다. 시정계획자문단이 본격 운영되면서 종전의 희망서울시정운영위원회 등은 폐지됐다.

시정계획자문단은 기획위원회를 비롯해 안전·교통, 경제·일자리, 복지·건강, 도시재생, 여성·교육, 문화·관광, 환경·녹지 위원회로 구성됐다.

참여위원들도 거의 다 새로운 인물이다. 정당 관계자 등이 빠지면서 정치색은 상당 부분 흐려지고 전문성이 강화됐다.

안전·교통위원회에는 표창원 표창원범죄과학연구소 대표와 류희인 재난안전연구소장 등이, 경제·일자리위원회에는 이미영 페어트레이드코리아 대표와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복지·건강위원회에는 의과대학과 사회복지학과 교수들이, 도시재생위원회에는 건축학과와 도시계획학과 교수들이 주로 포진했다.

여성·교육위원회에는 한국여성의전화, 젠더정치연구소, 서울여성가족재단 관계자들이, 문화·관광위원회에는 예술대학 교수들과 한국영화산업전략센터 등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환경·녹지위원회엔 녹색연합과 환경재단 등 관계자가 포함됐다.

이러한 변화는 2기 박원순호가 정책과 사업을 실행하는 데 있어 정치색보다는 실용성과 전문성의 가치를 우선하겠다는 뜻을 비친 것으로 분석된다.

박 시장은 재선 후 1기 때 강조했던 복지뿐만 아니라 도시재생, 안전, 서울형 창조경제 등 여러 마리 토끼를 잡겠다며 ‘실용주의’를 강조한 바 있다.

시 관계자는 “시장이 가진 시민사회 네트워크를 더 확장하면서 공무원 사회와 정당에만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 시각에서 조언해줄 외부 전문가 풀을 운용, 다양한 과제를 실현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