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압박 시달리던 LGU+상담원 자살…진상규명 촉구”

“실적압박 시달리던 LGU+상담원 자살…진상규명 촉구”

입력 2014-11-12 00:00
업데이트 2014-11-12 14: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년단체 청년유니온은 12일 서울 중구 LGU플러스 서울 고객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실적압박에 시달리다 최근 스스로 목숨을 끊은 상담원 이모(30)씨와 관련, LGU플러스 측의 사과와 진상 규명 등을 촉구했다.

이미지 확대
9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한국판 블랙기업 운동 선포’ 기자회견에서 ’청년 유니온’ 관계자들이 가면을 쓰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청년 유니온’은 기업들이 청년노동자들에게 저임금·불안정·장시간 노동을 확대하고 있다고 선포한 뒤, 이런 노사 관계를 가지고 있는 이른바 블랙 기업들을 제보하는 온라인 사이트를 개설해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9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한국판 블랙기업 운동 선포’ 기자회견에서 ’청년 유니온’ 관계자들이 가면을 쓰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청년 유니온’은 기업들이 청년노동자들에게 저임금·불안정·장시간 노동을 확대하고 있다고 선포한 뒤, 이런 노사 관계를 가지고 있는 이른바 블랙 기업들을 제보하는 온라인 사이트를 개설해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청년유니온은 “지난달 21일 LGU플러스 전주 고객센터에서 상담원으로 일하던 청년노동자가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발생했다”며 “그는 일정한 판매량을 채우지 못하면 퇴근하지 못하는 등 실적압박이 강제하는 살인적인 노동강도와 직무 스트레스에 시달려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노동청에 고발합니다’로 시작하는 이씨의 유서에는 그가 회사로부터 인터넷전화, IPTV 등 판매를 강요받았으며 할당된 판매량을 채우지 못하면 퇴근을 하지 못하고 계약서에 명시된 추가근무수당도 받지 못했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이씨는 이런 행태가 LGU플러스 전주센터뿐 아니라 서울과 부산에서도 공공연히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청년유니온은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담당자 처벌, 진상 규명이 이뤄져야 한다”며 “LGU플러스는 협력업체 핑계로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젊은 상담원의 죽음 앞에 사죄하고 책임 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 LGU플러스 측은 고인의 죽음에 애도를 표하고 “이번 사안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이 발견되면 개선토록 할 것”이라며 “고객센터 상담사들의 근무환경 개선과 복지향상 등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